UN군이 전쟁에 참여한 역사상 유일한 전쟁. 6.25 전쟁
이미지가 없습니다.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 줄여서 안보리.
- 안보리의 경우 현 시점 기준 "상임이사국 5개" + 비상임이사국 10개" 로 구성됨
* 상임이사국 : 미국 / 영국 / 프랑스 / 중국 / 러시아. 5개 국가 (무제한 임기)
* 비상임이사국 : 10개 국가가 계속 바뀜 (임기가 정해져 있음)
- 유엔군 파병을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음
1. 안보리 국가중 60% 이상 찬성
2. 상임이사국 5개 국가 중 "아무도 반대하지 않아야 함"
- 그럼 6.25 전쟁때 유엔군은 어떻게 파병이 되었을까?
당시 상임이사국은 대만 (1971년부터 중국으로 바뀜) / 소련 (소련 붕괴 후 러시아로 바뀜)즉 미국 + 영국 + 프랑스 + 대만은 유엔군 파병에 찬성. 유일한 변수는 "소련" 이였는데"소련은 안보리에 불참한 상태였고"그것을 미국이 "거부권 행사를 포기" 한 것으로 간주해서 통과시켰음.
이후 소련은 안보리에 꼬박꼬박 참석해서 거부권을 사용함.
(썰로는 소련에서도 의도적으로 불참한거라는 말도 있는데 이건 해석이 나뉘는 부분)
- 현실에서는
최근 러시아 vs 우크라이나 전쟁만 해도안보리 통과가 안된 이유> 러시아가 거부해서
????????
기 때문에 6.25 전쟁이 유엔군의 처음이자 마지막이 될 확률이 매우 높다고...
- 안보리의 경우 현 시점 기준 "상임이사국 5개" + 비상임이사국 10개" 로 구성됨
* 상임이사국 : 미국 / 영국 / 프랑스 / 중국 / 러시아. 5개 국가 (무제한 임기)
* 비상임이사국 : 10개 국가가 계속 바뀜 (임기가 정해져 있음)
- 유엔군 파병을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음
1. 안보리 국가중 60% 이상 찬성
2. 상임이사국 5개 국가 중 "아무도 반대하지 않아야 함"
- 그럼 6.25 전쟁때 유엔군은 어떻게 파병이 되었을까?
당시 상임이사국은 대만 (1971년부터 중국으로 바뀜) / 소련 (소련 붕괴 후 러시아로 바뀜)즉 미국 + 영국 + 프랑스 + 대만은 유엔군 파병에 찬성. 유일한 변수는 "소련" 이였는데"소련은 안보리에 불참한 상태였고"그것을 미국이 "거부권 행사를 포기" 한 것으로 간주해서 통과시켰음.
이후 소련은 안보리에 꼬박꼬박 참석해서 거부권을 사용함.
(썰로는 소련에서도 의도적으로 불참한거라는 말도 있는데 이건 해석이 나뉘는 부분)
- 현실에서는
최근 러시아 vs 우크라이나 전쟁만 해도안보리 통과가 안된 이유> 러시아가 거부해서
????????
기 때문에 6.25 전쟁이 유엔군의 처음이자 마지막이 될 확률이 매우 높다고...
추천80 비추천 32
관련글실시간 핫 잇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