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종료
이미지가 없습니다.
A조
이란 7승 2무 1패 승점 23 +11 본선 진출
우즈벡 6승 3무 1패 승점 21 +7 본선 진출
UAE 4승 3무 3패 승점 15 +7 4차 예선 진출
카타르 4승 1무 5패 승점 13 -7 4차 예선 진출
키르기스스탄 2승 2무 6패 승점 8 -6 탈락
북한 0승 3무 7패 승점 3 -12 탈락
예선 초반부터 이란과 우즈벡이 2강으로 치고 나갔고, 그 뒤에도 큰 구도의 변화 없이 이란과 우즈벡이 본선행을 확정지은 조입니다. 당초 진출이 유력해 보였던 카타르가 별반 힘을 못쓰고 4차예선으로 밀린것이 특기할 점.
B조
대한민국 6승 4무 0패 승점 22 +13 본선 진출
요르단 4승 4무 2패 승점 16 +8 본선 진출
이라크 4승 3무 3패 승점 15 0 4차 예선 진출
오만 3승 2무 5패 승점 11 -5 4차 예선 진출
팔레스타인 2승 4무 4패 승점 10 -3 탈락
쿠웨이트 0승 5무 5패 승점 5 -13 탈락
이런저런 우여곡절은 있었지만 한국이 어쨌거나 아시아에서 유일한 무패 예선 통과팀이 되었습니다. 여기도 당초 진출이 유력했던 이라크가 요르단에게 밀린 것이 특기할 점. 요르단은 2차예선에서는 사우디를 누르더니 3차에서도 선전하며 첫 월드컵 진출의 기쁨을 누립니다. 오만과 팔레스타인의 4차 예선 막차 경쟁에서는 오만이 가까스로 탑승.
C조
일본 7승 2무 1패 승점 23 +27 본선 진출
호주 5승 4무 1패 승점 19 +9 본선 진출
사우디 3승 4무 3패 승점 13 -1 4차 예선 진출
인도네시아 3승 3무 4패 승점 12 -11 4차 예선 진출
중국 3승 0무 7패 승점 9 -13 탈락
바레인 1승 3무 6패 승점 6 -11 탈락
한때 6차전을 마치고 1강 일본 아래 5팀이 승점 1점차(!)로 모인 때도 있었는데...이후는 팀 체급대로 결과가 나오며 순위가 갈렸습니다. 사우디는 2차예선에서 요르단에게 일격맞은 댓가를 톡톡히 치르며 4차예선으로 밀렸고, 인니-중국-바레인의 4위싸움은 인도네시아의 승리로 갈렸습니다. 중국은 동남아에게 역사적 패배를 당하며 탈락을 확정지었다는 점에서 2022 월드컵 예선(이때는 베트남이었죠)이 데자뷰가 떠오르겠습니다.
본선진출 확정 6팀
이란(A조1위)
우즈벡(A조2위/첫 진출)
대한민국(B조1위)
요르단(B조2위/첫 진출)
일본(C조1위)
호주(C조2위)
본선 진출팀 확대의 의도에 걸맞게 첫 진출팀이 2팀이나 생겼습니다.
4차예선 진출 6팀
UAE(A조 3위)
카타르(A조 4위)
이라크(B조 3위)
오만(B조 4위)
사우디(C조 3위)
인도네시아(C조 4위)
이렇게 놓고 보니 4차도 만만하진 않군요. 4차예선은 3팀 2개조로 나눠 중립지역 싱글 라운드 로빈으로 치뤄지고, 각 조 1위만 본선에 나갑니다. 각 조 2위는 홈앤드어웨이 맞대결을 통해 한팀만 대륙간 PO에 나갈 수 있습니다. 일단 다른 팀들이 사우디를 피하려 들것 같긴 한데, 의외로 또 현재 저 팀중 사우디는 FIFA랭킹 3위입니다. 포트 선정이 어떻게 되려나요.
이란 7승 2무 1패 승점 23 +11 본선 진출
우즈벡 6승 3무 1패 승점 21 +7 본선 진출
UAE 4승 3무 3패 승점 15 +7 4차 예선 진출
카타르 4승 1무 5패 승점 13 -7 4차 예선 진출
키르기스스탄 2승 2무 6패 승점 8 -6 탈락
북한 0승 3무 7패 승점 3 -12 탈락
예선 초반부터 이란과 우즈벡이 2강으로 치고 나갔고, 그 뒤에도 큰 구도의 변화 없이 이란과 우즈벡이 본선행을 확정지은 조입니다. 당초 진출이 유력해 보였던 카타르가 별반 힘을 못쓰고 4차예선으로 밀린것이 특기할 점.
B조
대한민국 6승 4무 0패 승점 22 +13 본선 진출
요르단 4승 4무 2패 승점 16 +8 본선 진출
이라크 4승 3무 3패 승점 15 0 4차 예선 진출
오만 3승 2무 5패 승점 11 -5 4차 예선 진출
팔레스타인 2승 4무 4패 승점 10 -3 탈락
쿠웨이트 0승 5무 5패 승점 5 -13 탈락
이런저런 우여곡절은 있었지만 한국이 어쨌거나 아시아에서 유일한 무패 예선 통과팀이 되었습니다. 여기도 당초 진출이 유력했던 이라크가 요르단에게 밀린 것이 특기할 점. 요르단은 2차예선에서는 사우디를 누르더니 3차에서도 선전하며 첫 월드컵 진출의 기쁨을 누립니다. 오만과 팔레스타인의 4차 예선 막차 경쟁에서는 오만이 가까스로 탑승.
C조
일본 7승 2무 1패 승점 23 +27 본선 진출
호주 5승 4무 1패 승점 19 +9 본선 진출
사우디 3승 4무 3패 승점 13 -1 4차 예선 진출
인도네시아 3승 3무 4패 승점 12 -11 4차 예선 진출
중국 3승 0무 7패 승점 9 -13 탈락
바레인 1승 3무 6패 승점 6 -11 탈락
한때 6차전을 마치고 1강 일본 아래 5팀이 승점 1점차(!)로 모인 때도 있었는데...이후는 팀 체급대로 결과가 나오며 순위가 갈렸습니다. 사우디는 2차예선에서 요르단에게 일격맞은 댓가를 톡톡히 치르며 4차예선으로 밀렸고, 인니-중국-바레인의 4위싸움은 인도네시아의 승리로 갈렸습니다. 중국은 동남아에게 역사적 패배를 당하며 탈락을 확정지었다는 점에서 2022 월드컵 예선(이때는 베트남이었죠)이 데자뷰가 떠오르겠습니다.
본선진출 확정 6팀
이란(A조1위)
우즈벡(A조2위/첫 진출)
대한민국(B조1위)
요르단(B조2위/첫 진출)
일본(C조1위)
호주(C조2위)
본선 진출팀 확대의 의도에 걸맞게 첫 진출팀이 2팀이나 생겼습니다.
4차예선 진출 6팀
UAE(A조 3위)
카타르(A조 4위)
이라크(B조 3위)
오만(B조 4위)
사우디(C조 3위)
인도네시아(C조 4위)
이렇게 놓고 보니 4차도 만만하진 않군요. 4차예선은 3팀 2개조로 나눠 중립지역 싱글 라운드 로빈으로 치뤄지고, 각 조 1위만 본선에 나갑니다. 각 조 2위는 홈앤드어웨이 맞대결을 통해 한팀만 대륙간 PO에 나갈 수 있습니다. 일단 다른 팀들이 사우디를 피하려 들것 같긴 한데, 의외로 또 현재 저 팀중 사우디는 FIFA랭킹 3위입니다. 포트 선정이 어떻게 되려나요.
추천43 비추천 13
관련글실시간 핫 잇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