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흉기난동 사건: 말해도, 말하지 않아도 혐오는 커진다
이미지가 없습니다.
▶[열람중]중국인 흉기난동 사건: 말해도, 말하지 않아도 혐오는 커진다 실시간 핫 잇슈
지난 5월 19일, 시흥과 화성에서 각각 발생한 세 건의 강력 범죄가 언론에 보도되었다. 모두 중국인 피의자가 저지른 사건으로, 한 건은 살인 및 살인미수 혐의, 다른 건은 흉기로 다수를 위협한 사건이었다. 하루에 벌어진 연속적 사건이라는 점, 그리고 모두 중국 국적자가 가해자였다는 점에서, 사건은 뉴스와 커뮤니티를 통해 순식간에 퍼져나갔다. “중국인 때문에 한국이 위험해지고 있다”는 불안과 공포도 함께 확산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MBC의 뉴스 보도는 유독 뭇매를 맞았다. 피의자의 국적을 언급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였다.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중국인을 감싼다”, “국적을 숨긴 건 사실 왜곡”이라는 비판이 쏟아졌고, 이런 글에 수많은 댓글과 공감 표시가 달렸다.
언론은 이처럼 외국인이 가해자인 사건을 보도할 때 진퇴양난에 빠진다. 보도하면 혐오를 조장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보도하지 않으면 정보를 감춘다며 신뢰를 잃는다. 혐오와 신뢰 사이에서 균형을 잡으려는 시도가 오히려 둘 다 잃게 되는 경우도 많다.
외국인 혐오는 특정 국가에만 국한된 현상이 아니다. 세계적으로 보편적인 편견이며, 특히 범죄와 결합할 때 더욱 쉽게 불거진다. 외국인이 범죄를 저질렀다고 보도되는 순간, 그 사람이 속한 국가 출신 모두에 대한 감정적 반감이 유발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한국 사회에서는 이미 범죄자의 국적을 보도하는 것이 하나의 관행처럼 굳어져 있다는 점이다. 경찰이 피의자의 국적을 밝혔고, 다른 매체들이 이를 기사화한 상황에서, 유독 일부 언론이 이를 생략하면 독자는 ‘일부러 감췄다’는 인상을 받는다. 이것이 곧 언론 불신으로 이어지고, 오히려 혐오의 감정이 강화된다.
국적을 보도하지 않는 선택은 두 갈래의 방향에서 혐오 심리를 자극할 수 있다. 첫째는, 피해자 정서를 제대로 대변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외국인 혐오는 종종 외국인이 내국인보다 더 많은 특권을 누린다는 인식에서 비롯된다. 특히 가해자가 외국인일 경우, 피해자가 누구였든 내국인은 ‘나도 언젠가는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불안에 빠지게 된다. 이때 언론이 국적을 생략하면, 내국인은 자신이 느끼는 피해 감정이 외면당했다고 여긴다. “나는 억울한데, 아무도 내 감정을 말해주지 않는다”는 소외감은 혐오로 쉽게 전이된다.
둘째는, 외국인이 감정까지 통제하는 권력자로 비쳐지는 점이다. “외국인 혐오를 조장할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는 기준은, 혐오를 줄이기 위한 조치임에도 불구하고 독자에게는 “이제는 외국인 문제를 말하는 것조차 금지되었다”는 인식으로 읽히곤 한다. 감정 표현의 자유가 제한되었다는 분노는, 오히려 외국인을 ‘숨은 강자’로 설정하게 만든다. 약자를 옹호해야 한다는 논리의 개입이 시작되는 순간, 그 약자는 더 이상 약자가 아니라 사회를 통제하는 또 다른 강자, 혹은 강자의 전위로 인식되기 쉽다.
물론 이러한 감정이 사실인지 여부는 차분한 분석이 필요한 사안이다. 그러나 그런 감정이 ‘실제로 존재한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감정이 존재하는 한, 그 감정은 혐오를 지속시키고 강화시킬 수 있는 심리적 기반이 된다.
결국, 국적을 보도하면 혐오의 감정이 자극되고, 보도하지 않으면 억울함과 불신이 쌓인다. 이 딜레마 속에서 언론은 어떻게 해야 사회를 더 깊게 갈라놓지 않을 수 있을까. 혐오를 막기 위해 필요한 건 ‘보도하지 않는 것’이 아닐지도 모른다. 오히려 언론은, 우리가 지금 무엇을 왜 두려워하고 있는지를 꺼내 말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주는 데 더 집중해야 할지도 모른다.
이런 상황에서 MBC의 뉴스 보도는 유독 뭇매를 맞았다. 피의자의 국적을 언급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였다.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중국인을 감싼다”, “국적을 숨긴 건 사실 왜곡”이라는 비판이 쏟아졌고, 이런 글에 수많은 댓글과 공감 표시가 달렸다.
언론은 이처럼 외국인이 가해자인 사건을 보도할 때 진퇴양난에 빠진다. 보도하면 혐오를 조장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보도하지 않으면 정보를 감춘다며 신뢰를 잃는다. 혐오와 신뢰 사이에서 균형을 잡으려는 시도가 오히려 둘 다 잃게 되는 경우도 많다.
외국인 혐오는 특정 국가에만 국한된 현상이 아니다. 세계적으로 보편적인 편견이며, 특히 범죄와 결합할 때 더욱 쉽게 불거진다. 외국인이 범죄를 저질렀다고 보도되는 순간, 그 사람이 속한 국가 출신 모두에 대한 감정적 반감이 유발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한국 사회에서는 이미 범죄자의 국적을 보도하는 것이 하나의 관행처럼 굳어져 있다는 점이다. 경찰이 피의자의 국적을 밝혔고, 다른 매체들이 이를 기사화한 상황에서, 유독 일부 언론이 이를 생략하면 독자는 ‘일부러 감췄다’는 인상을 받는다. 이것이 곧 언론 불신으로 이어지고, 오히려 혐오의 감정이 강화된다.
국적을 보도하지 않는 선택은 두 갈래의 방향에서 혐오 심리를 자극할 수 있다. 첫째는, 피해자 정서를 제대로 대변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외국인 혐오는 종종 외국인이 내국인보다 더 많은 특권을 누린다는 인식에서 비롯된다. 특히 가해자가 외국인일 경우, 피해자가 누구였든 내국인은 ‘나도 언젠가는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불안에 빠지게 된다. 이때 언론이 국적을 생략하면, 내국인은 자신이 느끼는 피해 감정이 외면당했다고 여긴다. “나는 억울한데, 아무도 내 감정을 말해주지 않는다”는 소외감은 혐오로 쉽게 전이된다.
둘째는, 외국인이 감정까지 통제하는 권력자로 비쳐지는 점이다. “외국인 혐오를 조장할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는 기준은, 혐오를 줄이기 위한 조치임에도 불구하고 독자에게는 “이제는 외국인 문제를 말하는 것조차 금지되었다”는 인식으로 읽히곤 한다. 감정 표현의 자유가 제한되었다는 분노는, 오히려 외국인을 ‘숨은 강자’로 설정하게 만든다. 약자를 옹호해야 한다는 논리의 개입이 시작되는 순간, 그 약자는 더 이상 약자가 아니라 사회를 통제하는 또 다른 강자, 혹은 강자의 전위로 인식되기 쉽다.
물론 이러한 감정이 사실인지 여부는 차분한 분석이 필요한 사안이다. 그러나 그런 감정이 ‘실제로 존재한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감정이 존재하는 한, 그 감정은 혐오를 지속시키고 강화시킬 수 있는 심리적 기반이 된다.
결국, 국적을 보도하면 혐오의 감정이 자극되고, 보도하지 않으면 억울함과 불신이 쌓인다. 이 딜레마 속에서 언론은 어떻게 해야 사회를 더 깊게 갈라놓지 않을 수 있을까. 혐오를 막기 위해 필요한 건 ‘보도하지 않는 것’이 아닐지도 모른다. 오히려 언론은, 우리가 지금 무엇을 왜 두려워하고 있는지를 꺼내 말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주는 데 더 집중해야 할지도 모른다.
추천69 비추천 48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