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상 문돌이가 보는 비트코인 단상
이미지가 없습니다.
기술적인 건 전혀 모르고 단지 사회적인 현상으로서의 비트코인에 대한 단상입니다.
비트코인이 화폐이냐 아니냐는 고루한 주제입니다. 저는 비트코인은 그 변동성 때문에 교환의 매개가 되기 힘들기에 화폐로써 기능하기는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가치저장의 수단", 이른바 "자산"으로써의 역할은 충분히 해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모든 인간 사회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자산 또한 본질은 다수의 믿음입니다. 부동산은 실물 땅덩어리 그 자체라기보단 부동산을 등기함으로써 국가에서 소유권을 보장할 것이라는 믿음이고, 주식은 회사라는 추상적인 존재의 소유권이라는 추상성이 보장될 것임을 믿는 것, 화폐마저도 단순 종이쪼가리가 아닌 아무튼 국가에서 보증하는 무언가라는 점에서 결국 중요한 건 믿음과 그 믿음을 유지하는 능력입니다. 내재가치니 뭐니 하는 건 그 믿음을 보강하는 수단일 뿐 본질이 아닙니다.
비트코인은 독특합니다. 내재가치가 없거든요. 내재가치가 없음에도 다수의 믿음에 의해 굳건히 유지되어 1억원을 훌쩍 넘기까지 해버렸으니 신기할 따름입니다. 그렇기에 여전히 논쟁적인 주제이기도 합니다. 누군가는 내재가치가 없으니 가격이 0원으로 수렴할 것이라 하고, 누군가는 비트코인은 쓸모가 있다며 맞섭니다.
다른 수많은 버블처럼 동시에 모두가 공유하던 믿음이 깨진다면 비트코인 또한 역사의 수많은 버블 중 하나로 기록될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유지될 것입니다. 중요한 건 ["동시에"]라는 거죠. 일종의 뱅크런 같은 것입니다. 은행도 동시에 모두가 인출하지 않으면 잘 굴러갑니다. 비트코인의 가치라는 것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동시에 모두의 믿음을 깨버린다면 망할 것이고 아니라면 그럭저럭 굴러갈 것입니다.
이러한 비트코인에 대한 믿음, 즉 신뢰를 탄탄히 하는 건 바로 비트코인의 [쓸모]일 것입니다. 쓸모가 있다면, 즉 비트코인에 대한 실수요가 탄탄하다면 가격또한 탄탄히 받쳐줄테니까요. 누군가 믿음을 잃고 투매하더라도 누군가가 받아준다면야 가격은 유지됩니다.
그리고 비트코인은 생각보다 쓸모가 있습니다. 바로 ["국가에서 압류하기 힘든 자산"]이라는 것입니다. 이건 정말 강력한 강점입니다. 부동산은 들고 갈 수 없는데다 얼마든지 세금을 크게 때릴 수 있고, 주식이나 채권은 법적인 조치 몇 번이면 압류당할 수 있으며, 금붙이 또한 물리적으로 압류당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여러 조치만 취하면 국가에서 소유를 파악하고 압류하는 게 정말이지 어렵습니다.
대한민국의 선량한 국민이라면 여기서 "범죄수익"을 떠올리겠지만 딱히 다 그런 것도 아닙니다. 왜냐하면 세계 대다수 사람은 신뢰할 수 있는 정부를 갖고 있지 못하거든요. 나이지리아나 이전 아르헨티나를 생각해봅시다. 자국 화폐는 쓰레기입니다. 금붙이는 번거롭고 달러는 손에 넣기 까다롭습니다. 공식적인 무역 등으로 번 달러는 국가에 의해 터무니없이 낮은 "공식환율"로 환전해야합니다. 이런 나라일수록 좀 더 "안전한" 자산으로 부를 저장하고싶다는 욕망이 있을 수밖에 없고 비트코인은 딱 좋은 수단입니다. 반대로 말하면, 이러한 수요가 있는 한 비트코인의 가치는 지지될 것입니다. 물론 어느정도 선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물론 그게 왜 비트코인이어야 하느냐는 의문은 여전히 남습니다. 기술적으로야 다른 더 좋은 코인이 더 많은데요. 타 코인 대비 비트코인의 장점은 ["압도적인 인지도"]와 ["신뢰도"]입니다. 인지도야 말할 필요도 없죠. 전세계인이 압니다. 신뢰도 또한 타 잡 알트코인과는 비교가 안됩니다. 발행자가 얼마든지 대량매도해버릴 수 있는 위협이 있는 알트코인은 그만한 신뢰를 쌓기 힘듭니다. 반면 비트코인은 SEC에서 자산으로 인정받고 금융자본이 투자까지 할 수 있는 등 자산으로써의 역량이 차원이 다르죠.
그래서 다른 암호화폐는 모르겠고 비트코인만은 "디지털 금"으로 거듭났으므로 어느정도 가치를 유지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더 오를지, 내릴지는 잘 모르겠지만요. 개인적으로는 제3세계 경제가 커갈수록 코인의 역할은 더 커지지 않을까합니다.
사실 비트보단 스테이블 코인에 더 관심이 많은데 글이 너무 길어질 것 같아 언젠가로 미루겠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PGR에도 코인 하시는 분들이 꽤나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코인에 관한 여러분들의 인사이트가 알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열람중]천상 문돌이가 보는 비트코인 단상 실시간 핫 잇슈
기술적인 건 전혀 모르고 단지 사회적인 현상으로서의 비트코인에 대한 단상입니다.
비트코인이 화폐이냐 아니냐는 고루한 주제입니다. 저는 비트코인은 그 변동성 때문에 교환의 매개가 되기 힘들기에 화폐로써 기능하기는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가치저장의 수단", 이른바 "자산"으로써의 역할은 충분히 해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모든 인간 사회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자산 또한 본질은 다수의 믿음입니다. 부동산은 실물 땅덩어리 그 자체라기보단 부동산을 등기함으로써 국가에서 소유권을 보장할 것이라는 믿음이고, 주식은 회사라는 추상적인 존재의 소유권이라는 추상성이 보장될 것임을 믿는 것, 화폐마저도 단순 종이쪼가리가 아닌 아무튼 국가에서 보증하는 무언가라는 점에서 결국 중요한 건 믿음과 그 믿음을 유지하는 능력입니다. 내재가치니 뭐니 하는 건 그 믿음을 보강하는 수단일 뿐 본질이 아닙니다.
비트코인은 독특합니다. 내재가치가 없거든요. 내재가치가 없음에도 다수의 믿음에 의해 굳건히 유지되어 1억원을 훌쩍 넘기까지 해버렸으니 신기할 따름입니다. 그렇기에 여전히 논쟁적인 주제이기도 합니다. 누군가는 내재가치가 없으니 가격이 0원으로 수렴할 것이라 하고, 누군가는 비트코인은 쓸모가 있다며 맞섭니다.
다른 수많은 버블처럼 동시에 모두가 공유하던 믿음이 깨진다면 비트코인 또한 역사의 수많은 버블 중 하나로 기록될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유지될 것입니다. 중요한 건 ["동시에"]라는 거죠. 일종의 뱅크런 같은 것입니다. 은행도 동시에 모두가 인출하지 않으면 잘 굴러갑니다. 비트코인의 가치라는 것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동시에 모두의 믿음을 깨버린다면 망할 것이고 아니라면 그럭저럭 굴러갈 것입니다.
이러한 비트코인에 대한 믿음, 즉 신뢰를 탄탄히 하는 건 바로 비트코인의 [쓸모]일 것입니다. 쓸모가 있다면, 즉 비트코인에 대한 실수요가 탄탄하다면 가격또한 탄탄히 받쳐줄테니까요. 누군가 믿음을 잃고 투매하더라도 누군가가 받아준다면야 가격은 유지됩니다.
그리고 비트코인은 생각보다 쓸모가 있습니다. 바로 ["국가에서 압류하기 힘든 자산"]이라는 것입니다. 이건 정말 강력한 강점입니다. 부동산은 들고 갈 수 없는데다 얼마든지 세금을 크게 때릴 수 있고, 주식이나 채권은 법적인 조치 몇 번이면 압류당할 수 있으며, 금붙이 또한 물리적으로 압류당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여러 조치만 취하면 국가에서 소유를 파악하고 압류하는 게 정말이지 어렵습니다.
대한민국의 선량한 국민이라면 여기서 "범죄수익"을 떠올리겠지만 딱히 다 그런 것도 아닙니다. 왜냐하면 세계 대다수 사람은 신뢰할 수 있는 정부를 갖고 있지 못하거든요. 나이지리아나 이전 아르헨티나를 생각해봅시다. 자국 화폐는 쓰레기입니다. 금붙이는 번거롭고 달러는 손에 넣기 까다롭습니다. 공식적인 무역 등으로 번 달러는 국가에 의해 터무니없이 낮은 "공식환율"로 환전해야합니다. 이런 나라일수록 좀 더 "안전한" 자산으로 부를 저장하고싶다는 욕망이 있을 수밖에 없고 비트코인은 딱 좋은 수단입니다. 반대로 말하면, 이러한 수요가 있는 한 비트코인의 가치는 지지될 것입니다. 물론 어느정도 선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물론 그게 왜 비트코인이어야 하느냐는 의문은 여전히 남습니다. 기술적으로야 다른 더 좋은 코인이 더 많은데요. 타 코인 대비 비트코인의 장점은 ["압도적인 인지도"]와 ["신뢰도"]입니다. 인지도야 말할 필요도 없죠. 전세계인이 압니다. 신뢰도 또한 타 잡 알트코인과는 비교가 안됩니다. 발행자가 얼마든지 대량매도해버릴 수 있는 위협이 있는 알트코인은 그만한 신뢰를 쌓기 힘듭니다. 반면 비트코인은 SEC에서 자산으로 인정받고 금융자본이 투자까지 할 수 있는 등 자산으로써의 역량이 차원이 다르죠.
그래서 다른 암호화폐는 모르겠고 비트코인만은 "디지털 금"으로 거듭났으므로 어느정도 가치를 유지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더 오를지, 내릴지는 잘 모르겠지만요. 개인적으로는 제3세계 경제가 커갈수록 코인의 역할은 더 커지지 않을까합니다.
사실 비트보단 스테이블 코인에 더 관심이 많은데 글이 너무 길어질 것 같아 언젠가로 미루겠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PGR에도 코인 하시는 분들이 꽤나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코인에 관한 여러분들의 인사이트가 알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추천99 비추천 18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