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거시 미디어와 유튜브 미디어 지형의 미래는? > 멤버뉴스

본문 바로가기

멤버뉴스

레거시 미디어와 유튜브 미디어 지형의 미래는?

이미지가 없습니다.
*일반적인 주제로 미디어 얘기를 하고 싶지만 현재의 정국에서 비롯된 생각이기에 정치탭으로 설정합니다.

요새의 정국과 제가 유튜브를 통해 정보를 얻는 행태를 보며 레거시 미디어와 유튜브의 미래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https://youtu.be/nFu0GqWABXA?si=fq2RGHejEgpP3Ufc

예전에 손석희가 유시민 작가와 김희원 기자와 유튜브의 저널리즘 역할에 대해 토론한 영상입니다. 보면 김희원 기자는 역시 레거시 미디어를 대변하는 입장인 반면 유시민 작가는 좀 더 유튜브에 우호적인 입장이고요. 비록 저 영상에는 김희원 기자가 살짝 꼰대 느낌으로 비춰져서 반응도 크게는 안 좋은 것 같은데 전 개인적으로는 아직까지 유튜브가 레거시 미디어를 대체하는게 맞는가 하는 생각은 들면서도 그렇다면 현 레거시 미디어가 그 역할을 제대로 하는지도 사실 의문이 드는 것도 사실이긴 합니다.
현재 유튜브에서 활동하는 모습만 봐도 유시민 작가는 레거시 미디어보다는 자기 진영 쪽 유튜브에 점점 자리를 잡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확실히 이젠 비판보다는 비난에 가까운 워딩을 보이는 경향을 자주 보이고요. 요새 유시민 작가와 전원책 변호사가 나오던 옛날 썰전이 추천영상으로 떠서 재밌게 보다가 문득 궁금해서 전원책 변호사를 검색하니 전원책 변호사는 자기 채널을 운영하며 그냥 아예 레거시에 안 돌아올 생각으로 유튜브의 그 쪽 세상?으로 가신것 같고요. 두 분다 이제 알쓸신잡이나 썰전 같은 대중 프로그램에서 앞으로 볼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
한편 요즘 조중동 사설의 포지션을 보면 이제는 윤석열에 대해서는 많이 돌아선 모습을 볼 수 있는데 댓글들 보면 역시 안 봐도 뻔하게 조선일보 구독취소한다며 극우 유튜브를 소비하는 것으로 보이는 어르신들이 많이 비난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죠. 이런 모습은 한겨레나 경향이 왼쪽 진영에서 만족할만한 스탠스를 취하지 않을 때도 자주 나타나던 반응이고요. 예전 같았으면 욕하고 말았을텐데 이제 이런 분들은 결국 유튜브에서 자신의 입맛에 맞는 얘기를 해주는 곳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생각 됩니다.

-
정치 쪽과는 별개로 무안공항 참사 보도 과정을 봐도 흥미로운 지점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초반엔 언론들이 버드 스트라이크와 기장의 에러 여부에 일단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추후에 국내 커뮤니티, 외신 및 해외 파일럿 유튜브 영상에서 비롯된 문제 제기로 결국 로컬라이저 둔덕 이슈가 주요 언론에서도 급조명을 받고 지금은 사고 자체의 원인과 함께 계속 언급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이런 문제를 둔덕 문제 제기하면 공항에 책임이 있으니 그걸 더 나아가서 정치적인 이슈로 연결 지으려는 참 몰상식한 사람들도 보이고요.

-
레거시 미디어가 참 비판 받을 점이 많다고 생각되면서도 그렇다면 그저 유튜브 미디어가 미래라고 말하는게 옳은지 사실 저는 개인적으로는 잘 모르겠습니다. 레거시 미디어가 없고 모두가 자신만의 에코챔버에 빠져 있는 모습을 상상하면 그것 또한 디스토피아에 가까울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고도로 훈련된 사람이 아니고선 무엇이 진짜인지에 대한 기준이 점점 없어질 것 같습니다. 헌데 문제는 레거시 미디어들도 결국 이런 유튜브 중심의 세계에서 살아 남으려다 보니 점점 자극적이고 신중하지 못한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이 드네요. 그렇다면 레거시 미디어가 아예 현재의 권위와 신뢰조차 잃은채 혼돈의 모습을 보일 수도 있겠고요.

-
김훈의 허송세월이라는 에세이 책에서 이런 미디어의 방향성에 생각할 거리를 주는 참 공감이 가는 글이 있어 그 한 부분을 공유합니다. ["의견과 사실이 뒤섞여 있는 말은 알아듣기가 어렵습니다. 여기에서 듣기의 헛갈림은 시작됩니다. 아마도 사실을 의견처럼 말하고 의견을 사실처럼 말하려는 충동은 인간의 언어의식 밑에 깔린 잠재 욕망일 것입니다. 이것이 말하기의 어려움입니다. 당파성에 매몰된 사람들이 목전에서 벌어지는 현실을 이념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의견과 사실을 뒤섞고 모자이크해서 내놓는 말들은 이 시대에 넘쳐 나고 있습니다. 이것은 듣기의 괴로움입니다. 듣기의 괴로움과 말하기의 어려움은 순환관계입니다."]

점점 사실과 의견이 더 어지럽게 혼재하는 사회에서 저 같은 사람들 그리고 특히 언론 종사자들은 점점 생각이 참 많아질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추천51 비추천 33
관련글
  • [열람중]레거시 미디어와 유튜브 미디어 지형의 미래는?
  • 실시간 핫 잇슈
  • 김광진 - 편지
  • KBO리그 현재 순위 (4월 6일 경기종료 기준)
  • <플로우> - 선의와 경이. (노스포)
  • 우리나라는 서비스를 수출하는 나라가 될 수 있을까
  • 탄핵 이후 주목해볼 상황들 짧게 예상
  • 국민 여러분 안심하십시오. 계엄은 성공하였습니다.
  • 2025년 3월 5주 D-차트 : 지드래곤 4주 1위! 엔믹스 4위-스테이씨 13위-세이마이네임 20위
  • 김용현 검찰로 보내서 꼬리자르기 하려던 게 맞았나 보네요
  • 상법개정안과 재벌해체
  • 김창완&츄(Chuu) - 어릴 적 할머니가 들려주신 옛 전설 | 마비노기 모바일 런칭 OST MV
  • 회사소개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www.webstoryboard.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