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산 LLM과 전략 > 멤버뉴스

본문 바로가기

멤버뉴스

한국의 국산 LLM과 전략

이미지가 없습니다.

무슨 거창한 제목이 돼 버렸지만 그런 건 아니고, 그냥 요즘 관심 생긴 분야 찾다가 가볍게 정리 겸 써보는 글입니다. 인터넷 검색 위주로 찾은 자료다보니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현재 거대언어모델(LLM)의 주도권은 누가 뭐래도 미국의 빅테크가 치열하게 선도하고 있고 중국이 뒤따라고 있습니다. 그들의 자금력, 데이터 생각하면 솔직히 전세계 어느나라도 경쟁할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국내에서도 LLM, 그것도 자체모델을 만드는 경우가 있어 흥미로웠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직접 빅테크 모델과 경쟁하기보다는 정부, 교육, 국방이나 국내 중소기업을 타깃으로한 시장을 노리고 만드는 것으로 보입니다.


1.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국산 LLM중 가장 유명한 것이죠. 클로바X라는 챗봇과 큐:라는 검색 서비스가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네이버는 "소버린 AI"라는 컨셉을 적극적으로 밀고 있습니다. 각국이 자국의 문화, 가치를 이해하는 AI 모델을 갖고 있어야한다는 개념이죠. 센터장은 교육을 예로 많이 듭니다. 독도가 분쟁지역이라 뱉는 빅테크 AI에게 교육을 맡길 수 있겠냐는 거죠.

단순히 국내 시장만 아니라 사우디와 협력하는 등, 각국이 자체 모델을 만들 수 있도록 데이터센터, 인프라 등까지 한 번에 구축해서 제공하는 쪽에 집중하는 것 같습니다.


2. LG EXAONE
제가 보기엔 국내에서 네이버 다음으로 적극적으로 생성형AI에 투자하는 기업이 LG 같습니다. 20년에 이미 AI 연구원을 설립했고 26년까지 인공지능, 데이터 연구에 3.6조를 투자한다고 합니다.

국내에서는 최초로 오픈소스 LLM인 엑사원을 출시하였고 꾸준히 업데이트 하고 있습니다. 오픈소스라고 완전 자유까지는 아니고 상업적 이용은 제한 돼 있긴 합니다.

마찬가지로 국내 시장은 물론 그룹 자체 내 활용, LLM과 다른 AI를 결합하여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쪽에 집중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3. 삼성 가우스
삼성도 LLM을 직접 만듭니다. 그런데 정보가 너무 없어서 이게 자체 모델인지 파인튜닝인지까진 확신이 없는데 아마 자체모델인 것 같습니다.

갤럭시S 최신 시리즈에 들어가는 온디바이스 AI가 이 가우스의 경량화 버전으로 보입니다.

현재는 가우스2까지 나왔습니다. 현재까지는 모델을 활용하여 적극적인 판매를 한다기보단 그룹 내부에서의 활용에 초점을 맞추는 느낌입니다. 코드i라는 프로그래밍 어시스턴트가 사내에 있다네요.


4. KT 믿음
뜬금없이 KT가? 싶지만 얘도 있습니다. 처음에는 LLM 자체로 무언가를 해보려다 방향을 바꿔서 경량화한 sLM위주로 전략을 수정했습니다.

빅테크 모델과 직접 경쟁은 불가능하니 대신 작은 모델 여럿을 특정 목적에 맞게 파인튜닝하여 서비스단에서 경쟁하겠다는 전략입니다. 꼭 자체 모델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 오픈소스 모델 사용 등을 통해 여러 모델을 필요에 따라 활용하여 대응하려는 것 같습니다.


5. 기타 오픈소스 파인튜닝 모델
카카오의 KoGPT(GPT-3 기반), 업스테이지의 솔라(라마 기반), 솔트룩스의 루시아(라마, 젬마 기반) 등 사실 파인튜닝 특성상 엄청나게 많은 모델들이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어디서 뭘 하는지조차 모름.

개인적으로는 직접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하는 것보단 오픈소스 모델 가져가 파인튜닝 하는 게 더 낫지 않나 싶기도 합니다.


대충 이정도일까요. 정리하자면 (제가 파악하는) 국내 자체 LLM은 총 4개입니다. 각각은 직접 빅테크 AI와 경쟁하는 것은 피하고, 서비스 단에서 파인튜닝을 통해 비벼보겠다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주요 시장은 국내 정부나 보안이 중요한 기업들 위주인 것 같습니다.

솔직히 빅테크가 승자독식할 것 같은 이 구조에서 과연 기술력도 자금력도 현격히 떨어지는 국산 LLM이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을지 의문이기도 해서 흥미롭게 바라보고 있습니다. 나름 자신의 포지션을 잘 찾아서 살아남았으면 좋겠기도 합니다. 물론 제가 쓸 일은 아마 잘 없을 것 같긴 합니다만.


보통 AI 하면 오픈AI나 구글, 앤트로픽 같은 외국 모델 얘기만 잔뜩 들으실텐데 국내에도 이런 게 있기는 하다라는 취지에서 소개차 가져와봤습니다.

잘 아시는 분들이 어떤지 더 알려주시면 저도 공부가 되고 내용도 더욱 풍성해질 것 같습니다. 많은 내용 공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추천114 비추천 42
관련글
  • [열람중]한국의 국산 LLM과 전략
  • 북해도산 가리비와 국산 가리비의 차이
  • 1년이 지나도 안 썩는 중국산 마늘
  • 중국산 둔갑... 과징금
  • 수입산 참깨로 만든 국산 참기름...홈쇼핑 통해 유통
  • 한국산 전동차를 조롱한 중국 언론
  • 쿠팡을 장악해버린 중국산 짝퉁 논란
  • 태극전사들에게 배달된 한국산 도시락
  • 중국인이 생각하는 중국산.jpg
  • 중국산 쓰면 안되는 이유.JPG
  • 실시간 핫 잇슈
  • 김광진 - 편지
  • KBO리그 현재 순위 (4월 6일 경기종료 기준)
  • <플로우> - 선의와 경이. (노스포)
  • 우리나라는 서비스를 수출하는 나라가 될 수 있을까
  • 탄핵 이후 주목해볼 상황들 짧게 예상
  • 국민 여러분 안심하십시오. 계엄은 성공하였습니다.
  • 2025년 3월 5주 D-차트 : 지드래곤 4주 1위! 엔믹스 4위-스테이씨 13위-세이마이네임 20위
  • 김용현 검찰로 보내서 꼬리자르기 하려던 게 맞았나 보네요
  • 상법개정안과 재벌해체
  • 김창완&츄(Chuu) - 어릴 적 할머니가 들려주신 옛 전설 | 마비노기 모바일 런칭 OST MV
  • 회사소개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www.webstoryboard.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