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韓美 전문가 "트럼프, 美 일자리 만든 韓은 보편관세 면제해야" > 멤버뉴스

본문 바로가기

멤버뉴스

[정치] 韓美 전문가 "…


1

"FTA 체결국도 보편관세 예외 아닐수도…한미FTA는 "트럼프합의"라고 설득해야"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 =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해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대규모 대미 투자를 통해 미국 경제에 기여한 한국은 예외로 해야 한다고 미국 싱크탱크 전문가가 제언했다.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의 여한구 선임위원과 앨런 울프 방문연구원은 24일(현지시간) 보고서에서 "트럼프가 재집권하면 한국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했음에도 상당한 폭의 관세 증가에서 예외가 아닐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저자들은 지금의 정치 환경이 트럼프 전 대통령이 한미FTA를 끔찍한 합의라고 비판하며 취임 직후 개정을 추진했던 2016년과는 다르다면서 "이번에 한국에 대한 위험은 트럼프 캠페인이 약속한 10% 보편 관세에서 비롯될 수 있다"고 관측했다.


저자들은 한국 기업들이 미국의 반도체와 전기차, 배터리, 태양광 등 산업에 막대한 금액을 투자했다면서 이를 통해 창출된 한미 경제 동력을 상실하지 않으려면 관세 면제가 특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2기 행정부는 폭넓은 새로운 관세를 적용하는 데 있어서 한국을 구별해서 유리하게 대우해야 한다. 한국은 미국에 새로운 일자리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됐기 때문이다"라고 밝혔다.


저자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첫 임기 때 한미FTA를 재협상해 개정한 사실을 언급하고서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한미FTA를 개정했으니 이제 한미FTA는 트럼프의 합의이며 따라서 한미FTA는 관세를 면제받아야 한다"는 논리로 트럼프 측을 설득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미국의 무역 정책이 대선을 앞두고 크게 불확실해진 상황에서 저자들은 한국이 미국과 상호 유리한 분야에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자들은 한미 양국이 반도체, 배터리, 핵심광물, 백신 등 전략적으로 중요한 분야에서 서로의 안보 이익을 보장하기 위한 공식 협정을 양자 또는 다른 동맹과 다자로 체결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협정에는 참여국 간에 안보에 중요한 품목의 공급·투자 정보를 공유하고, 중요한 품목의 공급이 부족할 경우 상대국에 대한 수출을 차별하지 않고 공정한 양을 보장하는 내용 등을 담을 것을 제안했다.


[email protected]


추천91 비추천 19
관련글
  • 공간도 좁고 동선도 애매한 원룸 전문가의 인테리어 결과물
  • 연매출 1200억 찍었다는 유명한 브랜딩 전문가
  • 해외여행 가서 현지 전문가가 찍어준 사진
  • 대표가 모셔온 화려한 이력의 전문가
  • 잠수탄 부동산 전문가들
  • 전직 가수가 유튜브 전문가들에게 하는 조언
  • 성의학 전문가가 밝힌 포경수술
  • 사춘기 아들 성교육 상담을 위해 전문가 찾아간 홍성흔
  • 전문가가 알려주는 삽입 기술
  • [라디오스타] 한국에서 제일 유명한 UFO 사진 구라라고 분석하는 전문가
  • 실시간 핫 잇슈
  • 김광진 - 편지
  • 성공해서 동묘 싹쓸이중인 데프콘
  • 2025년 3월 5주 D-차트 : 지드래곤 4주 1위! 엔믹스 4위-스테이씨 13위-세이마이네임 20위
  • 현재 유럽 논PK 득점 1위 우스만 뎀벨레
  • 김창완&츄(Chuu) - 어릴 적 할머니가 들려주신 옛 전설 | 마비노기 모바일 런칭 OST MV
  • 임찬규의 국내 투수 완봉은 33개월만
  • 한국 싱글 2집 "LOVE LINE" 프롤로그 (3월 31일 컴백)
  • 타짜 명장면(그부분) 영화 vs 드라마
  • 인기가요 1위로 한 주 마무리 (+앵콜 직캠) / 그 외 여러 영상
  • 내한 루머
  • 회사소개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www.webstoryboard.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