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우리나라 취업자 중 대졸 이상 학력자 '절반 처음 넘었다' > 멤버뉴스

본문 바로가기

멤버뉴스

[사회] 우리나라 취업자 중 대…


1

작년 비중 50.5% 차지…대기업 79.5%·중소기업 47.0%

대기업 석·박사 비중, 중소기업의 3.2배…작년 고등교육기관 취학률 사상 최고


지하철 출근 모습[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지난해 우리나라 취업자 중 대졸(대학교 졸업) 이상 학력자가 사상 처음으로 절반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기업 석·박사 비중이 중소기업의 3배가 넘어 고학력자의 대기업 쏠림 현상은 심화했다.


2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취업자 2천841만6천명 중 대졸 이상 학력자는 1천436만1천명으로 50.5%로 집계됐다.


이는 초대졸(전문대 등 초급대학 졸업), 대졸, 대학원졸(대학원 졸업)을 합한 것이다.


대졸 이상 비중이 절반인 50%를 넘은 것은 처음이다.


이 수치는 2003년 30.2%에서 꾸준히 높아져 2011년(40.0%)에 40%선을 돌파했고 2020년 48.0%, 2021년 48.7%, 2022년 49.3%에 이어 지난해 처음 50%를 넘었다.


지난해 취업자를 학력별로 보면 고졸(고교 졸업)이 37.1%로 가장 많고 대졸 31.8%, 초대졸 13.9%, 중졸(중학교 졸업) 6.5%, 초졸 이하(초등학교 졸업 이하) 5.9%, 대학원졸 4.8% 등이다.


[표] 교육정도별 취업자 비중 추이 (단위: %)


연도
초졸이하
중졸
고졸
초대졸
대졸
대학원졸
대졸 이상
2003
14.4
12.1
43.3
9.0
18.6
2.7
30.2
2004
13.8
11.9
43.2
9.5
18.8
2.8
31.1
2005
13.1
11.4
43.0
10.1
19.5
2.9
32.5
2006
12.6
11.2
42.4
10.5
20.4
3.0
33.9
2007
12.3
10.6
41.9
11.1
21.1
3.1
35.3
2008
11.9
10.2
41.0
11.6
21.9
3.5
36.9
2009
11.5
9.8
40.4
12.0
22.7
3.6
38.3
2010
10.8
9.8
40.4
12.2
23.1
3.6
38.9
2011
10.3
9.8
39.9
12.7
23.7
3.7
40.0
2012
9.9
9.5
39.5
13.4
23.8
3.8
41.1
2013
9.4
9.1
39.3
13.6
24.6
4.0
42.2
2014
8.8
8.6
39.6
13.3
25.7
4.0
43.0
2015
8.2
8.4
39.7
13.0
26.6
4.1
43.8
2016
7.7
8.2
39.4
13.1
27.2
4.4
44.7
2017
7.3
8.1
39.1
13.2
27.7
4.6
45.5
2018
7.1
7.9
38.4
13.4
28.6
4.7
46.7
2019
7.0
7.7
38.0
13.4
29.3
4.6
47.4
2020
6.9
7.5
37.6
13.4
30.0
4.6
48.0
2021
6.6
7.2
37.5
13.6
30.6
4.5
48.7
2022
6.3
7.0
37.4
13.7
31.0
4.5
49.3
2023
5.9
6.5
37.1
13.9
31.8
4.8
50.5

※ 대졸 이상 = 초대졸+대졸+대학원졸


(자료=통계청)


이는 그만큼 고학력자가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를 보면 지난해 대학·대학원 등 고등교육기관 취학률은 76.2%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이는 20년 전보다 17.2%포인트 높다.


그러나 기업 규모별로 고학력자 취업자 비중은 격차가 컸다.


지난해 종사자 300인 미만 중소기업 취업자 2천532만9천명 중 대졸 이상 학력자는 1천190만8천명으로 47.0%를 차지했다.


대졸은 29.0%, 초대졸은 14.1%, 대학원졸은 3.9%를 각각 차지했다.


고졸이 39.3%로 가장 많고 중졸 7.2%, 초졸 이하 6.5% 수준이다.


[표] 중소기업 교육정도별 취업자 비중 추이 (단위: %)


연도
초졸이하
중졸
고졸
초대졸
대졸
대학원졸
대졸 이상
2003
15.4
12.8
43.8
8.7
17.2
2.1
28.0
2004
14.8
12.6
43.7
9.3
17.4
2.3
28.9
2005
14.1
12.2
43.5
9.8
18.0
2.3
30.2
2006
13.5
11.9
43.1
10.2
18.8
2.4
31.5
2007
13.2
11.3
42.6
10.9
19.5
2.5
32.9
2008
12.8
10.9
42.0
11.3
20.3
2.8
34.4
2009
12.3
10.6
41.6
11.7
20.9
2.9
35.5
2010
11.6
10.5
41.6
12.1
21.3
2.9
36.3
2011
11.1
10.5
41.1
12.5
21.8
2.9
37.3
2012
10.7
10.2
40.8
13.2
22.0
3.1
38.3
2013
10.2
9.8
40.7
13.5
22.7
3.2
39.3
2014
9.5
9.3
41.1
13.1
23.8
3.3
40.1
2015
8.9
9.1
41.2
12.9
24.7
3.3
40.9
2016
8.4
8.9
41.1
13.0
25.1
3.5
41.7
2017
8.0
8.8
40.8
13.2
25.6
3.7
42.5
2018
7.7
8.6
40.0
13.3
26.5
3.9
43.7
2019
7.7
8.3
39.7
13.4
27.0
3.8
44.3
2020
7.6
8.2
39.4
13.4
27.7
3.7
44.8
2021
7.3
7.9
39.4
13.5
28.2
3.7
45.3
2022
6.9
7.8
39.4
13.8
28.4
3.7
45.9
2023
6.5
7.2
39.3
14.1
29.0
3.9
47.0

※ 대졸 이상 = 초대졸+대졸+대학원졸


(자료=통계청)


반면 지난해 대기업 취업자 308만7천명 중 대졸 이상은 245만3천명으로 79.5%에 달했다. 5명 중 4명꼴이다.


대졸이 54.7%로 절반이 넘고 대학원졸 12.5%, 초대졸 12.3%이다. 고졸은 18.9%, 중졸은 1.0%, 초졸 이하는 0.6%다.


그동안 고학력자는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에서 비중 증가 폭이 더 컸다.


지난해 대기업의 대졸 이상 취업자 비중은 20년 전인 2003년(55.3%)보다 24.2%포인트 높아져 같은 기간 중소기업(19.0%포인트)보다 증가폭이 컸다.


또 지난해 대기업에서 석·박사 인력인 대학원졸 취업자 비중은 12.5%로 중소기업(3.9%)의 3.2배였다.


[표] 대기업 교육정도별 취업자 비중 추이 (단위: %)


연도
초졸이하
중졸
고졸
초대졸
대졸
대학원졸
대졸 이상
2003
2.5
4.0
38.2
12.2
34.5
8.6
55.3
2004
2.2
3.7
37.4
12.3
35.0
9.4
56.7
2005
2.2
3.4
37.2
12.3
35.3
9.6
57.1
2006
2.0
3.1
34.5
13.1
37.8
9.4
60.4
2007
1.6
2.4
33.1
13.8
39.5
9.7
62.9
2008
1.6
2.2
29.8
14.7
40.3
11.5
66.4
2009
2.0
2.1
27.8
14.4
42.0
11.6
68.1
2010
1.8
1.9
27.6
14.2
42.8
11.7
68.7
2011
1.5
1.7
26.3
15.0
44.0
11.6
70.5
2012
1.1
1.6
25.5
15.5
44.0
12.2
71.7
2013
0.8
1.5
24.8
15.2
45.2
12.5
72.9
2014
1.0
1.5
24.7
15.0
45.9
11.8
72.8
2015
1.0
1.7
24.9
14.2
45.8
12.5
72.4
2016
0.8
1.6
23.4
13.6
47.3
13.2
74.2
2017
1.0
1.4
23.2
13.6
47.5
13.4
74.5
2018
0.8
1.5
22.5
13.6
48.5
13.2
75.2
2019
0.6
1.3
21.6
13.4
50.6
12.4
76.5
2020
0.7
0.9
21.2
14.1
50.7
12.4
77.2
2021
0.9
1.0
20.3
14.7
51.4
11.7
77.7
2022
0.7
1.0
20.7
13.2
52.8
11.6
77.5
2023
0.6
1.0
18.9
12.3
54.7
12.5
79.5

※ 대졸 이상 = 초대졸+대졸+대학원졸


(자료=통계청)


[email protected]


추천73 비추천 60
관련글
  • [단독] 사망자 974명을 취업자로 둔갑
  • [그래픽] [그래픽] 대기업·중소기업 취업자 증감 추이
  • [경제] 지난달 대기업 취업자 4천명 증가 그쳐…5년 4개월만 최소
  • [경제] 졸업후 취업까지 11개월 '역대 최장'…3년 이상 미취업자 24만명
  • [경제] 6월 취업자 두달째 10만명 하회…자영업 감소세 지속(종합2보)
  • [경제] 6월 취업자 9만6천명 증가…2달 연속 10만명 하회(종합)
  • [경제] [1보] 6월 취업자 9만6천명 증가…두달째 10만명 밑돌아
  • [경제] 침체된 건설업…15년만에 '5월 건설취업자' 전월 대비 첫 감소
  • [그래픽] [그래픽] 취업 형태별 취업자 비중
  • [경제] 5월 취업자 8만↑, 39개월만에 최소폭…"날씨·휴일 등 영향"(종합2보)
  • 실시간 핫 잇슈
  • KBO리그 현재 순위 (4월 6일 경기종료 기준)
  • <플로우> - 선의와 경이. (노스포)
  • 탄핵 이후 주목해볼 상황들 짧게 예상
  • 오늘의 RAW 애프터 매니아
  • 우리나라는 서비스를 수출하는 나라가 될 수 있을까
  • 국민 여러분 안심하십시오. 계엄은 성공하였습니다.
  • 김용현 검찰로 보내서 꼬리자르기 하려던 게 맞았나 보네요
  • 2025년 3월 5주 D-차트 : 지드래곤 4주 1위! 엔믹스 4위-스테이씨 13위-세이마이네임 20위
  • 트럼프 "미국이 가자지구 점령해 소유할 것"
  • 상법개정안과 재벌해체
  • 회사소개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www.webstoryboard.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