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권익위 "지방공공기관도 성범죄·음주운전 징계시효 10년으로 늘려라" > 멤버뉴스

본문 바로가기

멤버뉴스

[사회] 권익위 "지방…


1

3년→10년 상향 권고…수사·감사 개시 통보 대상에 포함할 것도 권고




지방공공기관 성비위·음주운전 징계 사각지대 해소 추진(CG)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지방공공기관 임직원의 성범죄와 음주운전에 대한 "징계 사각지대"를 없애는 방안이 추진된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방 공기업과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 등 지방공공기관의 임직원이 성 비위를 저지르거나 음주운전을 하고도 징계받지 않는 사례를 확인하고, "지방공공기관 성비위·음주운전 징계 누락 방지 방안"을 마련해 행정안전부와 지방자치단체에 권고했다고 17일 밝혔다.


현재 공무원과 공공기관 임직원의 경우 성 비위에 대한 징계 시효는 10년이다.


반면 전체 공공기관의 85%를 차지하는 248개 지방공공기관의 임직원은 지방공기업법·지방출자출연법상 징계 시효가 3년이다.


소속 기관에서 성 비위 사실을 뒤늦게 알고도 시효가 지났다는 이유로 징계 처분을 하지 못하는 사례도 있었다고 권익위는 설명했다.


권익위는 행안부에 지방공공기관 임직원들의 성 비위 징계 시효도 공무원과 마찬가지로 10년으로 늘리도록 지방공기업법과 지방출자출연법 개정을 추진하라고 권고했다.


아울러 지방공공기관 임직원의 성 비위·음주운전도 공기업·준정부기관 임직원에 준해 수사·감사 개시 통보 대상에 포함하도록 행안부에 지방공기업법·지방출자출연법 개정 추진을 권고했다.


[email protected]


추천53 비추천 61
관련글
  • [열람중] [사회] 권익위 "지방공공기관도 성범죄·음주운전 징계시효 10년으로 늘려라"
  • 실시간 핫 잇슈
  • 할리우드 회계 : 돈을 잃어서 돈을 버는 방법
  • 손흥민 사우디서도 오퍼, 한국 투어 후 결정
  • 올데이 프로젝트, 데뷔 4일만에 멜론 TOP100 1위 + 엠카 데뷔무대
  • 벤피카 vs 첼시 경기가 4시간 38분이나 걸린 사연
  • 오타니 시즌 24호, 25호 모닝콜.gif (용량주의)
  • 보스턴 즈루할러데이 포틀로이적
  • "NC 요구사항 다 들어줄 수 있다" 수도권 지자체의 파격 제안, 지방 도시도 적극 구애
  • 이재명 대통령의 첫 순방
  • 부산락페스티벌 라인업
  • 서로가 서로에게 없는 것을 좋아해
  • 회사소개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www.webstoryboard.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