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1∼5월 서울 아파트 매매 5채중 1채는 15억이상…역대 최대 비중 > 멤버뉴스

본문 바로가기

멤버뉴스

[경제] 1∼5월 서울 아파트 …


1


2

15억이상 거래 중 61.7%는 강남3구…15억이상 거래서 중소형 60% 육박





서울 시내 부동산중개업소에 매물정보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올해 서울에서 거래된 아파트 5채 중 1채는 거래가가 15억원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15억원 이상에 거래된 아파트 10채 중 6채는 전용면적 85㎡ 이하로, 중소형 이하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졌다.


13일 부동산정보 제공업체 경제만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등록된 1∼5월 서울 아파트 매매 1만8천830건을 분석한 결과, 15억원 이상 거래는 전체의 19.9%에 해당하는 3천744건으로 집계됐다.


서울에서 매매된 아파트 5채 중 1채는 15억원이 넘는다는 의미로, 이는 국토부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 이래 비중 면에서 1∼5월 기준으로 역대 최대치다.


2006∼2018년(1∼5월 기준)만 해도 서울에서 15억원 아파트 거래 비중은 10% 미만이었으며, 2019년 10.5%를 기록한 이래 2020년(6.2%)을 제외하고 줄곧 10%대를 유지했다.


2021년 16.6%, 2022년 18.1%, 2023년 17.4%를 각각 기록한 데 이어 올해는 20%에 육박한 수준까지 커진 것이다.





서울시내 아파트 전경. [연합뉴스 자료사진]

또 15억원 이상에 거래된 아파트 10채 중 6채는 "중소형"으로 분류되는 전용면적 85㎡ 이하로 나타났다.


15억원 이상 거래에서 85㎡ 이하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43.2%, 2021∼2022년 46.6%, 2023년 58.8% 등으로 계속 커지고 있다.


반대로 15억원 이상 거래 중 102㎡를 초과하는 "중대형"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50.2%, 2021년 48.2%, 2022년 48.9%, 지난해 34.2%, 올해 33%로 작아지는 추세다.


일반적으로 전용면적 60㎡ 초과∼85㎡ 이하를 중소형으로, 102㎡ 초과∼135㎡ 이하를 중대형으로 분류한다.


한편, 지역별로 보면 15억원 이상 거래 3천744건 가운데 2천312건(61.7%)이 서울 강남·서초·송파구 등 "강남 3구"에서 발생했으며, 그 중 강남구가 860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송파구 747건, 서초구 705건 순이었다.


올해 들어 15억원 이상 거래 비중이 늘어난 데 대해 부동산R114 윤지해 수석연구원은 "고가 자산" 수요층인 자산가들의 경우 고금리 속에 오히려 유동성이 늘었다며 "이들이 아파트를 사들이기 시작하면서 15억원 이상 거래가 늘어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15억원 이상 대출을 규제한 과거와 달리 대출이 허용된 것도 영향을 미친 것 같다"고 분석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서울의 신축 아파트 가격이 전체 평균(12억원대)보다 높다면서 "주 수요층인 30∼40대가 직주근접, 신축을 선호하다 보니 최근 시장에서 15억원 이상 거래가 활발하다"고 말했다.


[표] 2006∼2024년 서울 15억원 이상 아파트 매매량 및 비중 (단위:건)




연도
매매거래량
15억원 이상 거래량
15억원 이상 거래 비중


2006년
36,407
207
0.6%


2007년
20,445
44
0.2%


2008년
32,644
163
0.5%


2009년
29,331
625
2.1%


2010년
17,362
474
2.7%


2011년
26,387
359
1.4%


2012년
17,642
251
1.4%


2013년
27,445
460
1.7%


2014년
34,367
475
1.4%


2015년
57,031
741
1.3%


2016년
40,608
898
2.2%


2017년
42,310
1,357
3.2%


2018년
40,405
2,052
5.1%


2019년
12,895
1,359
10.5%


2020년
28,549
1,763
6.2%


2021년
22,633
3,759
16.6%


2022년
7,244
1,314
18.1%


2023년
14,016
2,433
17.4%


2024년
18,830
3,744
19.9%


※ 1∼5월 기준 [경제만랩 제공]


[email protected]


추천102 비추천 72
관련글
  • 지방에서 살던 운동선수들이 서울 살기 싫어하는 이유
  • 서울대 교수회가 제시한 "대한민국 교육개혁 제안"
  • 서울 강동구에 대형 싱크홀이 생겼다는 소식이네요
  • 서울대 의대 교수진들이 미복귀 전공의, 의대생들에 비판 성명을 냈습니다
  • 서울이야.. 맞아, 서울이야.
  • 보고서 쓰는 인력은 필요 없어질까요? - 서울 부동산에 대한 AI의 보고서
  • 서울 명동 중국대사관 앞 反中 집회… 대만 출신 華商 “이유 없이 시비 걸어”
  • 눈 내리는 서울, 겨울 출사(사진 多)
  • 태어나서 처음 본 서울 - 이문동, 휘경동, 회기동 답사기
  • 서울 서부지방 법원이 폭도들에 의해 점거되었습니다
  • 실시간 핫 잇슈
  • 당분간 skt 이용자는 각종 인증 문자서비스 이용을 하지 않으시는게 좋겠습니다.
  • 불꽃야구 첫 방송은 유튜브 스트리밍
  • 겉으로 밝아보이는 사람이 가장 슬픈 이유
  • ??? : 케빈 가넷 그거 미네소타서 컨파 한번 간 범부 아니냐?
  • 닭비디아 주가
  • 지상렬 "예쁘다고 왜 말을 안해?"
  • 강스포) 데블스플랜2 다 본 짤막한 후기
  •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7)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6)
  • 유나이티드 헬스그룹의 행보가 매우 심상치 않습니다
  • 지옥의 9연전 성적 결산
  • 회사소개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www.webstoryboard.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