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통조림·캔음료 '주4회 이상 섭취' 늘어…화장 안하는 사람↑ > 멤버뉴스

본문 바로가기

멤버뉴스

[사회] 통조림·캔음료 …


1


2


3


4

2021~2023년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결과…성인 흡연율 16.8%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 통조림 등 식료품이 진열돼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비스페놀A와 에틸파라벤 등 유해물질이 인체로 들어오는 통로인 통조림과 캔음료 섭취 빈도가 더 빈번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얼굴에 화장하는 사람은 줄었다.


7일 국립환경과학원이 공개한 제5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3차 연도 결과 요약문을 보면 통조림과 캔 음료 등 "캔 음식"을 일주일에 4번 이상 섭취한다는 비율이 성인과 중·고등학생 모두에서 4기 조사 때보다 늘었다.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는 국민 몸 안에 환경유해인자 농도가 얼마나 되는지 파악하고자 3년 단위로 실시된다. 5기 조사는 2021~2023년 진행됐으며 6천608명(만 3세 이상 어린이와 청소년 2천329명·성인 4천279명)이 참여했다.


조사는 설문조사와 생체시료를 채취해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5기 조사에서 캔 음식을 주4회 이상 먹는 것으로 조사된 비율은 성인과 중고생 각각 4.2%와 8.8%로 2018~2020년 수행된 4기 조사 때(3.7%와 7.5%)보다 높아졌다.


다만 캔 음식을 일주일에 1~3회 먹는다는 비율은 성인과 중고생 각각 17.6%와 37.5%로 4기(19.3%와 38.8%)보다 줄었다. 한달에 1~3회 섭취한다는 비율은 성인에선 40.7%, 중고생에선 40.3%로 4기(34.8%와 37.1%)보다 증가했다.


캔 음식을 안 먹는 비율은 성인 13.4%와 중고생 37.5%로 4기(16.7%와 42.1%)에 견줘서 줄었다.





3~5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설문조사 중 캔 음식 섭취 횟수 응답 결과. [국립환경과학원 결과 요약문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

비스페놀은 통조림 내부 코팅제, 파라벤은 음식에 박테리아·곰팡이·진균 등이 생기지 않도록 막는 보존제로 사용된다.


비스페놀류와 파라벤류 모두 내분비계를 교란하고 생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에 해당한다.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화장품을 테스트하는 시민의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일주일에 4번 이상 스킨·로션·에센스 외 화장품을 사용하는 비율은 성인 22.8%, 중고생 10.1%로, 4기(33.6%와 29.6%)보다 감소했다.


화장품을 아예 쓰지 않는다는 비율은 성인과 중고생 각각 60.2%와 69.9%로, 4기(44.7%와 42.0%)에 견줘 큰 폭으로 늘었다.


5기 조사가 코로나19 대유행 때 이뤄진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화장품에도 파라벤이 보존제로 들어간다.





3~5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설문조사 중 화장품 사용 횟수 응답 결과. [국립환경과학원 결과 요약문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

담배를 피우는 성인은 16.8%로 나타났다.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로 파악된 성인 흡연율은 1기 조사(2009~2011년) 때 22.5%에서 3기 조사(2015~2017년) 때 16.0%까지 감소했다가 4기(16.3%) 조사 때 반등해 5기 조사까지 오름세를 이어갔다.


전자담배를 쓴 적 있다는 성인은 9.9%로 4기(8.0%)와 3기(4.9%)보다 많았다. 현재 흡연자인 경우 45.8%가 전자담배를 사용해봤으며, 이 비율 역시 4기(37.8%)나 3기(24.5%)에 견줘서 높았다.


어린이와 청소년 가운데 일주일에 한 차례라도 간접흡연을 당한 비율은 중고생 6.6%, 초등학생 3.4%, 영유아 1.3%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에서 소변 중 수은 농도는 영유아 0.273㎍/ℓ, 초등학생 0.288㎍/ℓ, 중고생 0.337㎍/ℓ, 성인 0.352㎍/ℓ로 나이가 많아질수록 짙어졌다.


카드뮴 농도도 영유아 0.213㎍/ℓ, 초등학생 0.247㎍/ℓ, 중고생 0.289㎍/ℓ, 성인 0.945㎍/ℓ 등 고연령일수록 고농도였다.


성별로는 수은의 경우 모든 나이에서 남성이, 카드뮴은 성인에서만 여성이 높고 나머지 나이대에서는 남성이 높았다.


발암성 화학물질로 자연에서 분해가 거의 안 돼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리는 과불화화합물 혈청 내 농도는 성인의 경우 물질 종류에 따라 0.97~12.1㎍/ℓ, 중고생의 경우 0.419~6.12㎍/ℓ로 나타났다.


국립환경과학원은 5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연내 국민 환경유해인자 노출 수준 값을 통계청 국가승인통계로 발표할 예정이다.


[email protected]


추천53 비추천 61
관련글
  • 오늘 쇼챔피언에서 데뷔 후 첫 음방 1위를 차지한 유니스 (+앵콜 영상)
  • 팬콘서트에서도 빛났던 장원영의 비쥬얼, 직캠 & 움짤 모음
  • 트럼프 사실상 경제정책 항복?
  • 밀워키 VS 인디, 멤피스 VS OKC, 미네 VS 레이커스 하이라이트
  • 치트키를 시전한 롯데 자이언츠 콜라보
  • 팬콘서트에서 말 그대로 리즈시절 달성한 리즈 직캠 & 움짤 모음
  • 기아타이거즈X 티니핑 콜라보
  • 여배FA 고예림, 하혜진, 육서영, 김채연 계약완료!!
  • 유럽축구 권력의 이동인가, 일시적 현상인가 - ELO 그래프가 말해주는 2024-25 시즌
  • 드디어 개봉하는 영화 "하이파이브" 히어로물 좋아하시는 분에게 추천
  • 실시간 핫 잇슈
  • KBO리그 현재 순위 (4월 6일 경기종료 기준)
  • <플로우> - 선의와 경이. (노스포)
  • 탄핵 이후 주목해볼 상황들 짧게 예상
  • 우리나라는 서비스를 수출하는 나라가 될 수 있을까
  • 국민 여러분 안심하십시오. 계엄은 성공하였습니다.
  • 2025년 3월 5주 D-차트 : 지드래곤 4주 1위! 엔믹스 4위-스테이씨 13위-세이마이네임 20위
  • 김용현 검찰로 보내서 꼬리자르기 하려던 게 맞았나 보네요
  • 오늘의 RAW 애프터 매니아
  • 트럼프 "미국이 가자지구 점령해 소유할 것"
  • 상법개정안과 재벌해체
  • 회사소개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www.webstoryboard.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