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中 저가공세에 철강수출…
2022년 9월부터 올해 5월까지 對中 철강 무역적자도 3배로 늘어
철강수출 침체 장기화할 듯…"내수부진·수출감소·中과 경쟁 어려움"
대중 철강교역 무역수지
[한국무역협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슬기 기자 = 중국 내 부동산 침체와 내수 부진으로 저가의 중국산 철강이 글로벌 시장에 쏟아져 나오면서 한국의 철강 수출이 최근 2년간 깊은 침체기를 겪고 있다.
전 세계 생산량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중국산 저가 공세가 하반기에도 계속될 전망인 가운데 국내 시장 부진과 수출의 마이너스 성장세라는 이중고에 처한 철강 업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4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15대 수출 품목 중 철강제품 수출액은 2022년 하반기부터 하강 곡선을 그리다가 같은 해 9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21.2%의 역성장을 찍었다.
이후 올해 6월까지 22개월 동안 철강제품 수출이 마이너스를 기록하지 않은 달은 지난해 6월(+3.1%), 9월(+7.3%), 올해 1월(+2.0%) 등 단 세 차례뿐이었다
이 기간 철강제품 수출은 10∼20% 안팎의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무역수지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체 수출 중 철강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5%로, 20%가량을 차지하는 반도체의 4분의 1 수준이다.
철강 수출 침체는 대중(對中) 철강 교역에서도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중국으로의 철강 수출액은 2021년 3∼12월 한때 4억달러를 넘기도 했지만, 2022년 들어 3억달러대로 주저앉은 이후 올해 들어서는 2억달러대까지 떨어졌다.
반면 대중 철강 수입액은 한국의 대세계 철강 수출이 침체하기 시작한 2022년 하반기부터 꾸준히 늘면서 올해 4·5월에는 각각 10억1천500만달러, 10억3천800만달러를 기록해 두 달 연속 10억달러를 넘겼다.
철강 분야의 대중 무역 적자도 한국의 대세계 철강 수출이 마이너스 터널에 진입한 2022년 9월 2억6천800만달러에서 지난 5월 7억5천100만달러로 3배 가까이로 늘어났다.
고로에 불씨 넣는 장인화 포스코 회장
(서울=연합뉴스) 장인화 포스코그룹 대표이사 회장이 27일 경북 포항시 포항제철소 4고로 풍구에 화입을 하고 있다. 2024.6.27 [포스코홀딩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문제는 이 같은 철강 수출 침체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철강업계에서는 상반기 중국 내 내수 부진으로 과잉 생산된 물량이 대거 수출시장으로 쏟아져 나왔던 현상이 하반기에도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상반기(1∼5월 집계) 중국 철강 수요는 3% 내외로 감소했는데, 부동산 침체 충격이 철강 수요 위축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공문기 포스코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상반기에 중국 부동산 투자 착공·완공 등 모든 지표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며 "이 추세대로라면 실제로 철강 수요에 미치는 충격이 하반기와 내년에는 더 커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세계 시장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중국의 부진을 상쇄할 만큼 중국 외 지역에서 철강 수요가 증가하는 것을 기대하는 것도 무리라는 지적이 나온다.
고금리 여파로 전 세계적으로 건설 경기가 위축된 데다,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선진국의 철강 수요 회복이 더디고, 인도 등 일부 신흥국에서의 견조한 수요도 "중국 침체"를 만회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공 연구위원은 "상반기에 20% 이상 급증했던 중국 철강 수출은 하반기에도 크게 줄어들지 않아 분기당 2천만t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며 "중국 철강 수출량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연간 9천만t에 근접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어 "각국의 내수시장 방어를 위한 장벽이 더욱 높아지면서 한국의 수출 환경도 동반 악화할 것으로 우려된다"며 "국내 내수도 안 좋은 상황에서 수출 확대는 어려워지고 중국산과 치열한 경쟁을 해야 하는 국내 철강업계로서는 쉽지 않은 하반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