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연체율 10% 넘어…채무 재조정 필요" > 멤버뉴스

본문 바로가기

멤버뉴스

[경제] 한은 "자영업…


1


2


3

연체 차주 수 비중 4.2% 달해…"금융기관 영향 모니터링도 강화해야"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민선희 기자 = 최근 국내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이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생 가능성이 없는 자영업자들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채무 재조정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게 한국은행의 진단이다.


한은이 26일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은 2022년 2분기 말 0.50%에서 올해 1분기 말 1.52%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특히 자영업자 중 다중 채무자이면서 저소득이거나 저신용인 취약 차주의 연체율이 급상승해 올해 1분기 말 10.21%에 달했다.


자영업자 취약 차주 수 비중도 12.7%로 가계(6.4%)의 두 배에 가까웠다.







한은은 전체 자영업자 대출 가운데 개인사업자 대출을 보유한 차주의 가계대출을 뺀 순수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도 과거 금리 상승기와 비교해 상승세가 가팔라진 편이라고 평가했다.


그 배경으로는 대출금리 상승 폭이 상대적으로 컸고, 서비스업 경기가 2022년 하반기 이후 위축된 점을 거론했다.


아울러 개인사업자의 주된 담보대출 대상인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부진했던 점도 연체율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했다.


서평석 한은 금융안정기획부장은 "금융시스템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 중 하나가 자영업자"라며 "현재 연체율 수준이 아주 높지는 않지만, 상승 속도가 빠른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가계대출과 자영업자 대출의 연체율이 나란히 상승한 것은 평균 연체액보다 연체 차주 수 증가 때문으로 분석됐다.


가계의 1인당 평균 연체액은 2022년 2분기 말 2천700만원에서 올해 1분기 말 3천400만원으로, 자영업자는 1억400만원에서 1억2천200만원으로 각각 늘어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연체 차주 수 비중은 가계가 1.72%에서 2.31%로, 자영업자가 1.57%에서 4.20%로 크게 뛰었다.


한은은 "당분간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연체율 상승 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금융당국은 채무 상환 능력이 크게 떨어졌거나 회생 가능성이 없는 자영업자에 대해 새출발기금 등을 통한 채무 재조정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가계와 자영업자 차주의 재무 건전성 변화가 금융기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모니터링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email protected]


추천64 비추천 40
관련글
  • [열람중] [경제] 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연체율 10% 넘어…채무 재조정 필요"
  • [경제] 업종별 최저임금 논의 본격화…"차별 조장"vs"자영업자 어려워"(종합)
  • [사회] 업종별 최저임금 논의 본격화…"차별 조장"vs"자영업자 어려워"(종합)
  • [경제] 업종별 최저임금 논의 본격화…"차별 조장"vs"자영업자 어려워"
  • [사회] 업종별 최저임금 논의 본격화…"차별 조장"vs"자영업자 어려워"
  • 실시간 핫 잇슈
  • 오늘의 RAW 애프터 매니아
  • 불꽃야구 첫 방송은 유튜브 스트리밍
  • 겉으로 밝아보이는 사람이 가장 슬픈 이유
  • 인터넷이 거대한 망무새가 되어간다
  • 지상렬 "예쁘다고 왜 말을 안해?"
  • 고환도 미백을 한다구요?
  • 지옥의 9연전 성적 결산
  • 1달넘게 무한 폭락만 하는 미스테리한 나스닥 종목
  • 도파민.
  • 점입가경 세리에 A 우승 레이스 현황
  • 회사소개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www.webstoryboard.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