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저출생 대책] 작년 출생아 수 23만명…인구 자연감소 시작돼 '국가소멸' 위기 > 멤버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멤버뉴스

[사회] [저출생 대책] 작년 …

"만혼·무자녀 부부" 증가로 출산율 급감…OECD 국가 중 출산율 "최하"

2020년 사망자>출생아로 "인구 자연감소" 시작…합계출산율 0.65까지 하락 예상

출산계획 있는 청년, 3명 중 1명 불과…"일·가정양립 가능해야"



253605_391670053_JDvPsE97_2024061966728b62ac96a.jpg
작년 출생아 23만명, 또 역대 최저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오진송 기자 = 작년 한국의 출생아 수는 23만명으로 8년 전인 2015년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이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낮지만, 내년에 0.65명으로 더 떨어질 전망이다.


2020년부터 인구 자연 감소가 시작되면서 국가적 비상사태에 직면할 우려가 커졌다.


그러나 청년의 32.6%만이 출산 계획이 있다고 밝혀, 청년들이 출산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회적 여건을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 보인다.



29352_391670053_BuWlnh75_2024061966728b62b7ea2.jpg
20대 혼인율 8%로 사실상 '소멸'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 20대 혼인율 8% 불과…"만혼" 늘면서 출산율 급감


정부는 19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출산위)를 열고 "저출생 추세 반전을 위한 대책"을 발표했다.


정부에 따르면 일자리·양육·주거 등 3대 불안 가중으로 혼인 기피 현상이 심화하면서 혼인율이 계속 하락하고 있다.


작년 혼인 건수는 19만4천 건으로, 10년 전인 2013년(32만3천 건)보다 39.9% 줄었다.


특히 20대 혼인율은 8%에 불과하다. 사실상 "20대 혼인"이 사라지고 있다.


청년들은 결혼하지 않는 이유로 ▲ 결혼 자금 부족(33.7%) ▲ 결혼 필요성 못 느낌(17.3%) ▲ 출산·양육 부담(11.0%) ▲ 고용 상태 불안정(10.2%) ▲ 결혼 상대 못 만남(9.7%) 등을 꼽았다.


혼인율이 줄고 만혼(晩婚)이 늘면서 출산율도 급격히 하락했다.


특히 연령별 출산율(해당 연령 여자 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은 20대 후반과 30대 초반에서 감소 폭이 컸다.


25∼29세 출산율은 2013년 65.9명에서 2018년 41명으로 줄었다가, 2023년 21.4명까지 떨어졌다.


30∼34세 출산율은 2013년 111.4명에서 2018년 91.4명, 2023년 66.7명으로 줄었다.


반면 35∼39세 출산율은 2013년 39.5명에서 2018년 46.1명으로 늘었다가 2023년 43명으로 약간 떨어졌다.


아이를 낳지 않는 "무자녀 부부"도 급증했다.


전체 기혼 여성 중 자녀가 없는 경우는 2010년 4.4%에서 2020년 8.4%로 배 가까이 늘었다.


부부 중 아내가 일을 하는 경우 50.8%(2022년 기준)가 자녀가 없었고, 아내가 일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39.1%가 자녀가 없었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2023년 0.72명으로 2015년(1.24명)보다 0.52명 낮아졌다.


합계출산율은 OECD 국가 중 최하위이고, 한국 다음으로 낮은 스페인(1.19명)과도 격차가 컸다.


작년 출생아 수는 23만 명으로 2015년(43만8천명)보다 47.5% 감소했다. 인구 1천 명당 출생아 수도 OECD 국가 중 가장 적다.


출생률 감소로 한해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넘어서면서 2020년(-3만2천600명)부터 인구 자연 감소가 시작됐다.



136877_391670053_hWSlxvqP_2024061966728b62be178.jpeg
'초저출생' 계속되면 2040∼2060년 '마이너스 성장'(CG)
[연합뉴스TV 제공]

◇ "초저출생" 계속되면 2040∼2060년 "마이너스 성장" 진입


정부는 합계출산율이 2025년 0.65명까지 떨어진 후 점차 회복해 2036년 1.02명 수준이 될 것이라며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그러나 통계청이 장래인구추계를 발표할 때마다 합계출산율 전망이 악화하고 있어 앞으로도 전망이 나빠질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지금과 같은 초저출생 상황이 이어지면 "국가적 비상사태"에 빠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한국은행은 2040년 이후, 골드만삭스는 2060년 이후 우리나라가 "마이너스 성장" 국면에 진입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생산연령 인구(15∼64세)는 50년 후 절반 이하로 감소하면서, 2027년까지 인공지능·클라우드·빅데이터·나노 등 4대 신기술 분야에 신규 인력 6만명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령화로 수요가 증가하는 돌봄 서비스직 인력 공급은 2042년에 수요의 30∼60% 수준인 61∼120만명이 모자랄 전망이다.


2072년에는 생산연령인구 1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2055년에 국민연금 기금이 소진된 후 당해연도 보험료 수입으로 연금 급여를 지급하는 "부과 방식"을 적용할 경우 2050년 22.7%, 2070년 33.4%의 보험료율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현행(9%)보다 훨씬 높은 보험료율로, 보험료 부담이 커지면 국민연금 등 복지제도의 안정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크다


학령인구 감소로 초·중·고등학교와 대학교 등 교육인프라가 붕괴할 수 있다.


2055년 출생아 수는 17만3천명으로 전망되는데, 이는 작년 수도권 대학 입학 정원(19만5천명)에도 미치지 못해 지방대학은 학생을 거의 받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사실 지방소멸은 이미 시작됐다.


작년 기준 전체 시군구 228곳 중 52%(118곳)가 소멸위험 지역으로 분류됐다.


소멸 위험지역은 20∼39세 여성 인구 수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값인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인 기초 지자체를 말한다.


2047년에는 인구 감소로 전체 시군구의 69%(157곳)가 소멸위험단계에 진입한다.


병력 부족에 따른 안보 불안도 문제다.


현재 50만 명 규모인 상비 병력은 2045년에 17만명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 한국의 0∼4세 인구는 165만명으로, 해방 후 최초로 북한(170만 명)보다 적었다.



31912_391670053_I4Z2Tjqa_2024061966728b62c8071.jpg
'육아시간 활용해서 자녀 돌봐요'
[육군 제공]

◇ 청년 61% 자녀 원하지만, 33%만 출산 계획…"일·가정양립 환경 필요"


청년 다수는 자녀를 원하지만, 실제로 출산 계획이 있는 경우는 30% 수준에 그쳐 청년들이 자녀를 낳고 기를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저출산위가 3월 29일∼4월 3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25∼49세 남녀 약 2천명을 대상으로 결혼·출산·양육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청년의 61.0%는 자녀를 원했고, 이상적인 자녀수는 1.8명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실제로 출산 계획이 있는 청년(미혼·기혼 포함)은 32.6%에 불과했다. 이미 자녀가 있는 청년 부부 중 추가로 자녀 계획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10.0%에 불과했다.


30∼39세 청년은 출산 의향이 생기기 위해 필요한 조건으로 ▲ 근로시간 감소와 육아시간 확보(남 92.1%·여 89.7%) ▲ 육아휴직 시 충분한 급여(남 92.1%·여 93.1%) ▲ 정부의 양육수당 인상(남성 93.5%·여성 78.2%) ▲ 재택근무(남 84.5%·여 93.2%) 등을 꼽았다.


한국에서 출산의 선결 조건으로 여겨지는 결혼에 대해 청년의 61.0%는 결혼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년들은 "결혼 상대가 없어서"(78.2%), "자금 부족"(75.5%)으로 결혼 의향이 있지만 미혼으로 남아있다고 답했다.


결혼 의향이 없는 청년은 전체의 23.0%였고, 남성은 "경제적 부담", 여성은 "가사와 양육 등 역할 부담"을 이유로 꼽았다.


결혼 의향이 생기기 위해 필요한 조건으로는 ▲ 주거비용 마련(30대 남성 84.1%) ▲ 만족할만한 일자리(20대 남성 86.4%·30대 남성 86.5%) ▲ 결혼 후에도 일에 열중 가능(20대 여성 79.4%·30대 여성 75.9%) 등을 말했다.


청년의 89.5%는 저출생 문제의 심각성에 공감했다. 그러나 결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여성 36%, 남성 23% 등으로 절대 낮지 않았다. 출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여성 48%, 남성 30%로 더 높았다.


청년의 90.8%는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기존의 정부 정책이 효과가 없다고 봤다. 정부 주도 저출생 캠페인에 대해 "반감이 든다"고 답한 청년은 48.0%나 됐다.


[email protected]


추천86 비추천 25
관련글
  • [사회] [저출생 대책] "둘째 고민하는 가구에 혜택 안 보여…2주 휴가 눈치 보일 듯"
  • [사회] [저출생 대책] 추락하는 출산율 반등할까…'재원 확보' 등 과제 산적
  • [경제] [저출생 대책] 육아휴직 더 쪼개 쓸 수 있다…급여도 '연 2천310만원'까지 준다
  • [사회] [저출생 대책] 3∼5세 무상보육 확대…외국인 가사 관리사 100명 투입
  • [사회] [저출생 대책] 난자동결 지원·제왕절개 비용 무료화…국내 입양도 활성화
  • [열람중] [사회] [저출생 대책] 작년 출생아 수 23만명…인구 자연감소 시작돼 '국가소멸' 위기
  • [사회] [저출생 대책] 정부 "출산율 하락 추세, 임기 내에 반전시킬 것"
  • 실시간 핫 잇슈
  • 뮤직뱅크 컴백무대 / 이영지의 레인보우 무대 모음
  • 아시아쿼터 조건은 NPB 선수들에게도 어필이 된다고 봅니다.
  • 김계란의 제로콜라 정리
  • 학창 시절 남자 애들이 자기 때문에 줄 섰다는 한혜진
  • 남자들이 타짜의 곽철용에게 환장할 수밖에 없는 이유
  • 유민상 컵라멱 먹는법
  • 이시각 진짜로 기자회견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은 걸그룹..
  • 골목식당, 공릉동 찌개백반집에 감동 받은 정인선
  • 우리나라 진짜 무인도 등대지기 생활
  • 키움 구단 팬 사찰 의혹
  • Copyright © www.webstoryboard.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