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고가품 업체, 50% 할인까지 앞세워 지갑 닫은 中고객에 구애 > 멤버뉴스

본문 바로가기

멤버뉴스

[경제] 고가품 업체, 50% …


1

발렌시아가·베르사체 등, 할인 폭 올리고 폼목도 늘려

에르메스·루이뷔통 등은 할인 없이 불황에도 "꿋꿋"




중국 베이징의 구찌 매장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기성 기자 = 일부 고가품 브랜드가 중국에서 최대 50%에 이르는 전례 없는 수준으로 할인을 실시하고 있다.


이는 "시장의 기둥"인 중국 현지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임에 따라 재고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고 있음을 반영한 것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 쇼핑객은 이번 달부터 알리바바그룹의 온라인 쇼핑몰인 티몰(Tmall)에서 베이지색 악어 무늬의 작은 아워글래스 핸드백을 35% 할인된 1천947 달러(약 270만 원)에 살 수 있다.


이런 가격은 전 세계 해당 브랜드의 공식 웹사이트는 물론 파페치를 비롯한 주요 고가폼 플랫폼들에 나와 있는 가격보다 저렴하다.


익명의 소식통들에 따르면 프랑스 케링 그룹 산하의 발렌시아가는 올해 첫 4개월 중 3개월 동안 세일 품목에 대해 평균 40% 할인을 제공했다.


또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티몰의 할인 품목 수를 배 이상으로 늘리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발렌시아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1월에만 할인에 나섰고, 할인율도 대략 평균 30%였다. 2022년 1~4월에는 전혀 할인이 없었다.


다른 브랜드들에서도 비슷한 추세를 엿볼 수 있다.


베르사체, 지방시, 버버리 모두 이번 달에 티몰과 다른 중국 플랫폼에서 가격을 낮췄으며, 일부는 할인율이 절반 이상에 달하기도 했다.


베르사체의 경우 평균 할인 폭은 지난해 초 약 40%에서 올해는 50% 이상으로 커졌다.


올해 들어 지금까지 베르사체와 다른 프리미엄 브랜드들은 할인 기간도 지난해보다 더 늘렸다.


할인 품목도 지난해에는 소수에 그쳤으나, 올해 첫 4개월 동안은 수백개로 많이 늘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고급 이미지를 바탕으로 성장을 해온 고가 브랜드들 입장에서 몇 년 전만 해도 가격 전쟁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었다. 이들이 플래그십 플랫폼에서 큰 폭의 할인을 전면에 내세우는 것도 드문 일이다.


리서치 업체 디지털 럭셔리 그룹의 임원인 자크 로이젠은 "세계에서 소비자와의 가장 눈에 띄는 접점인 티몰에서 이런 할인이 제공된다는 점" 때문에 놀랍기도 하고 솔직히 경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쇼핑지구로 유명한 뉴욕 맨해튼 5번가나 프랑스 파리의 샹젤리제에서 대놓고 세일하는 것과 같다고 덧붙였다.


업체들의 이런 전략은 불황으로 가계의 부가 쪼그라들면서 이들이 중국 본토에서 직면한 어려움을 드러내고 있다.


고가품 업체들이 매출 증대를 통한 실적 개선을 위해 중국에 의존하고 있지만, 시장의 큰손인 중국의 중산층은 점점 검소해지면서 세일을 기다리거나 아예 구입을 포기하고 있다.


고가품 업체들은 중국 시장의 수요 감소로 이미 타격을 받고 있다.


케링그룹은 지난 4월에 중국 내 구찌 매출이 부진해 올해 상반기 이익이 최대 45%까지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버버리는 중국과 미국의 수요 감소로 주가가 지난해 절반 이상 폭락했고, 샤넬은 가격이 더 높은 제품군에서조차 상황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하소연한 바 있다.


한편에서는 할인 없이 좋은 성과를 거두는 업체들도 있다.


에르메스와 루이뷔통을 포함한 일부 최상급 브랜드는 여전히 더 나은 성과를 거두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할인을 포기하고, 온라인 거래를 제한하며, 순자산이 많은 고객에게 집중하면서 불황 면역력을 키웠다.


구찌나 프라다, 미우미우를 포함한 일부 브랜드도 중국의 전자 상거래 플랫폼에서 공개적인 할인을 피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추천103 비추천 59
관련글
  • 경쟁 업체의 한 지붕 두가족 생활
  • 세탁업체의 계약 방식
  • 경호업체 직원의 묻지마 여성 폭행
  • 중국 업체와 거래한 회사
  • 나이키 갑질에 망하게 생긴 국내 하청업체
  • 전혀 다른 식당을 130개까지 배달 어플에 올려놓은 업체 (스압)
  • 연 270억 국내최대 헬스기구 업체 대표 마인드
  • 고압 전류에 타죽은 한전 하청업체 사망 사건 근황.JPG
  • 이유가 있었다...사설 구급차 업체 前 직원의 실토
  • 18) PC 수리한다면서 랜섬웨어 깔아준 업체.news
  • 실시간 핫 잇슈
  • 김광진 - 편지
  • 성공해서 동묘 싹쓸이중인 데프콘
  • 3인조 걸그룹 ablume(어블룸) 오피셜 트레일러 프리뷰 (=전 피프티피프티 3인)
  • 2025년 3월 5주 D-차트 : 지드래곤 4주 1위! 엔믹스 4위-스테이씨 13위-세이마이네임 20위
  • 현재 유럽 논PK 득점 1위 우스만 뎀벨레
  • 김창완&츄(Chuu) - 어릴 적 할머니가 들려주신 옛 전설 | 마비노기 모바일 런칭 OST MV
  • 임찬규의 국내 투수 완봉은 33개월만
  • 한국 싱글 2집 "LOVE LINE" 프롤로그 (3월 31일 컴백)
  • 타짜 명장면(그부분) 영화 vs 드라마
  • 인기가요 1위로 한 주 마무리 (+앵콜 직캠) / 그 외 여러 영상
  • 회사소개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www.webstoryboard.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