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88개 그룹 1년새 고용 5만6천명 늘렸다…쿠팡 고용 증가율 61% > 멤버뉴스

본문 바로가기

멤버뉴스

[경제] 88개 그룹 1년새 고…


1


2


3

한국CXO연구소, 88개 대기업집단 고용 변동 분석…삼성, 6년 연속 증가세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 = 쿠팡의 고용 인원이 1년 새 3만2천명 이상 늘어나는 등 국내 대기업 집단(그룹) 88곳의 직원 수가 1년 새 5만6천명 가량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쿠팡 배달 트럭이 모여 있는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5일 한국CXO연구소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가 올해 지정한 자산 5조원 이상 88개 대기업 집단을 대상으로 2022∼2023년 고용 변동을 분석한 결과, 88개 그룹 내 국내 계열사 3천318곳의 직원 수는 2022년 말 178만1천405명에서 2023년 말 183만7천324명으로 5만5천919명 늘었다.


고용 증가율은 3.1%로, 전년(2.5%) 대비 0.6%포인트 증가했다.


조사 대상 88개 그룹 중 최근 1년 새 직원 수가 증가한 곳은 43곳이었고, 감소세를 보인 곳은 36곳이었다. 9곳은 올해 대기업 집단에 신규 편입됐거나 직원 수에 변동이 없었다.


고용 인원이 가장 많이 증가한 그룹은 쿠팡이었다. 쿠팡은 2022년 말 5만2천551명에서 지난해 말 8만4천702명으로 1년 새 직원 수가 3만2천151명(61.2%) 늘었다.


이어 한화그룹이 같은 기간 4만2천555명에서 5만5천9명으로 1만2천454명(29.3%) 증가했다. 이는 한화오션 등이 편입된 영향이 컸다.


현대차그룹(8천836명)을 비롯해 포스코(6천353명), 삼성(4천282명), CJ(3천554명), 이랜드(2천319명), 한진(1천668명), LS(1천137명), HD현대(1천15명) 그룹 등도 고용 증가 인원이 1천명을 넘었다.




88개 대기업 집단 고용 증가 상위 10위
[한국CXO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그룹별 고용 증가율은 쿠팡과 한화에 이어 이랜드(18.1%), 포스코(16.7%), 유진(13.6%), BGF(12.6%), 에코프로(12.3%) 그룹 순이었다.


반면 SK그룹은 2022년 말 12만4천499명에서 2023년 말 11만4천950명으로 1년 새 고용 인원이 9천명 넘게 줄었다. 다만 이는 2022년까지 SK그룹 계열사였던 SK쉴더스(6천827명)와 캡스텍(4천848명)이 다른 회사로 매각됐기 때문으로, 이들 2개 기업을 제외하면 실제 SK그룹의 고용은 2천100명 정도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외에 KG(2천711명↓), 신세계(2천209명↓), LG(1천834명↓), 롯데(1천751명↓) 등의 고용 규모가 1천명 이상 감소했다.


개별 기업별로 보면 작년 말 기준 직원 수가 1만명이 넘는 "고용 1만명 클럽"에는 모두 28곳이 가입했다. 이중 삼성전자의 작년 고용 인원은 11만8천725명으로, 단일 기업 중 유일하게 직원 수가 10만명을 넘었다.


이어 현대차(7만3천267명), 쿠팡풀필먼트서비스(6만4천109명), 기아(3만6천884명), LG전자(3만6천363명), SK하이닉스(3만1천751명), LG디스플레이(2만8천168명), 이마트(2만5천60명), SCK컴퍼니(2만1천883명), 삼성디스플레이(2만1천201명) 등의 순이었다.


이중 특히 쿠팡풀필먼트서비스는 1년 새 고용 직원이 3만2천869명 증가하며 고용 증가율 105.2%를 기록했다.




삼성 고용 변동 현황
[한국CXO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작년 기준 그룹 전체 고용 규모는 삼성이 27만8천284명으로 가장 많았다. 삼성의 고용 규모는 2017년 24만2천6명에서 2018년 25만103명, 2019년 26만886명 등으로 꾸준히 늘며 작년까지 6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어 현대차(19만7천727명), LG(15만4천941명), SK(11만4천950명), 롯데(8만6천244명), 쿠팡(8만4천702명), 신세계(7만1천530명), CJ(6만1천901명), KT(5만8천485명), 한화(5만5천9명) 그룹이 고용 규모 "톱 10"에 속했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장은 "우리나라에서 대기업 집단이 차지하는 경제 비중은 상당하지만 자동화 시스템 등이 지속적으로 도입됨에 따라 고용 증가 속도는 더뎌 실질적인 고용은 중소기업 등에서 책임지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장기적으로 국내 고용을 확대하려면 30∼100명의 직원을 둔 중소기업에 고용을 늘릴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추천96 비추천 73
관련글
  • 2025년 6월 5주 D-차트 : 아일릿 1위! 3개월만의 걸그룹 D-차트 정상 탈환
  • 5~6월 소개드리지 못했던 걸그룹 뮤직비디오 모음
  • 90년대 인기가수/그룹들 근황
  • 후덜덜했던 고려대 석탑대동제&입실렌티 걸그룹 공연 모음 (아이브, 르세라핌, QWER 등등)
  • 하이브의 미국 현지화 걸그룹 KATSEYE (캣츠아이) 근황
  • 유나이티드 헬스그룹의 행보가 매우 심상치 않습니다
  • 지드래곤 걸그룹이랑 처음으로 챌린지 했네요
  • 음향기기 그룹 마샬, 중국 HongShan Capital Group에 인수
  • 두산그룹 지배구조 개편, 사실상 무산
  • 메르스 이후 처음으로 주요 그룹 사장단 긴급성명 발표
  • 실시간 핫 잇슈
  • 올데이 프로젝트, 데뷔 4일만에 멜론 TOP100 1위 + 엠카 데뷔무대
  • 벤피카 vs 첼시 경기가 4시간 38분이나 걸린 사연
  • 노스포)25년 상반기 영화관 관람 결산
  • 트럼프 "8월1일부터 한국 일본에 25% 상호관세"…서한 공개
  • 해양수도, 잘 준비하고 있는 것일까? <2> 부산 집중
  • 안세영 요넥스와 4년 100억 계약
  • SSG 랜더스 새 홈구장(청라돔) 상황
  • 기동전사 건담 시드 감상문
  • 케이팝데몬헌터스 삽입곡 모음
  • 고용노동부를 피하기 위해 열공했는데 고용노동부로..?
  • 회사소개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www.webstoryboard.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