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작년 건물 에너지 총사용량, 전년보다 1.3% 감소 > 멤버뉴스

본문 바로가기

멤버뉴스

[경제] 작년 건물 에너지 총사…


1


2

주거시설 에너지 사용량 줄고 비주거시설은 대부분 증가


(서울=연합뉴스) 김희선 기자 = 지난해 전국 모든 건물의 에너지 총사용량이 2022년보다 1.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2023년 전국 모든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을 집계한 결과, 에너지 총사용량과 단위 면적당 에너지 사용량이 전년 대비 각각 1.3%, 4.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지난해 건물 연면적이 2022년보다 3.2%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건물 에너지 총사용량은 47만4천TOE 감소한 3천588만8천TOE를 기록했다.


TOE는 석유 1t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량을 뜻한다.


건물의 단위 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은 전년 대비 4.4% 줄어든 117kWh/㎡로 집계됐다.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및 2050 탄소중립 달성 목표의 기준 연도인 2018년과 비교하면 9.0% 감소한 수치로 2018년 이후 최저치다.




지역별 건물 에너지 사용량 증감률
[국토교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지역별로 살펴보면 2022년과 비교해 에너지 총사용량이 가장 많이 감소한 지역은 대전(-3.8%)이었으며, 광주(-2.8%)와 서울(-2.7%)이 뒤를 이었다.


에너지 총사용량이 증가한 지역은 제주(1.1%), 세종(1.0%), 강원(0.9%), 전남(0.6%), 충남(0.3%), 인천(0.1%) 등이었는데, 증가율은 모두 1.1% 이하로 크지 않았다.


건물 용도별로는 단독주택(-4.4%)과 공동주택(-3.6%) 등 주거용 건물의 에너지사용량은 전년 대비 감소했지만, 업무시설(1.2%), 숙박시설(1.0%), 교육 연구시설(0.5%) 등 비주거용 시설은 대부분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련시설(23.5%)과 운동시설(8.2%)의 증가율이 높았다.


다만 비주거용 시설 중에서도 판매시설(-2.9%)과 의료시설(-1.3%)의 에너지 사용량은 전년 대비 줄었다.




용도별 건물 에너지 사용량 증감률
[국토교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우제 국토부 건축정책관은 "건물 부문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국가 건물 에너지 사용량 추이 및 지역별·용도별 사용현황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통계 데이터 기반의 탄소중립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도록 추가 통계지표 발굴 등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추천67 비추천 74
관련글
  • 김어준 뉴스공장 스튜디오 건물에도 계엄군이 왔었군요
  • 무려 본인 명의의 건물을 가지고 있다는 개그우먼 누나의 경제 상황
  • 인간이 버린 건물에 입주한 북극곰 가족
  • 조립식건물교실반대하는 학부모들
  • 영종도에 보이는 도로 끝 도깨비 건물 (스압)
  • [속보] 고양시 마두역 인근 싱크홀 건물붕괴 위험 .. 긴급대피 jpg
  • 씨랜드 참사 당시 충격적인 건물 구조
  • 건물 얘기하다 억울함 호소하는 서장훈 (스압)
  • 주택가 바로 옆에서 또 건물 무너트리는 방식으로 철거
  • 광주에서 철거하던 건물이 도로를 덮친 이유
  • 실시간 핫 잇슈
  • 오늘의 RAW 애프터 매니아
  • 불꽃야구 첫 방송은 유튜브 스트리밍
  • 당분간 skt 이용자는 각종 인증 문자서비스 이용을 하지 않으시는게 좋겠습니다.
  • 겉으로 밝아보이는 사람이 가장 슬픈 이유
  • ??? : 케빈 가넷 그거 미네소타서 컨파 한번 간 범부 아니냐?
  • 닭비디아 주가
  • 인터넷이 거대한 망무새가 되어간다
  • 지상렬 "예쁘다고 왜 말을 안해?"
  • 고환도 미백을 한다구요?
  • 지옥의 9연전 성적 결산
  • 회사소개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www.webstoryboard.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