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원…
이번주 당헌당규 개정 착수…전대룰 변경 이어 지도체제까지 손댈지 주목
집단지도부 구성 찬반 팽팽…"차기 주자 인큐베이터" "봉숭아학당 시즌2"
(서울=연합뉴스) 류미나 기자 = 국민의힘이 차기 지도부 구성을 두고 "원톱 체제"(단일지도체제)와 "토털 사커"(집단지도체제)의 갈림길에서 고민에 빠졌다.
국민의힘 전신인 새누리당은 2016년 총선에 패배하자 집단체제를 단일체제로 바꿨다. 그러나 이후로도 두 차례 총선에서 연거푸 참패하자 최근에는 과거의 집단체제로 돌아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단일체제는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와 최고위원 경선을 따로 진행한다. 집단체제는 단일 경선에서 최다 득표자가 대표최고위원, 차순위 득표자들이 최고위원이 된다.
8년 전 단일체제로 전환한 것은 기존 집단체제에서 친박(친박근혜)과 비박(비박근혜)의 극심한 계파 갈등이 총선 패배의 원인으로 꼽혔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후로 들어선 단일체제는 대통령과의 수직적 관계를 극복하지 못했거나 극심한 갈등을 겪었고, 당 대표의 비호감도 또는 리스크가 부각되기도 해 오히려 "득보다 실이 많았다"는 반성이 뒤따랐다.
최근의 4·10 총선 참패 이후 당정의 단일대오를 강조하면서도 당이 주도권을 쥐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받으면서 집단체제 논의가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발언하는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여기에는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단일체제 당권에 도전할 경우 "대세론"이 형성돼 전당대회 흥행이 실패할 수 있다는 우려가 깔렸다. 여러 주자의 경쟁으로 침체한 당의 분위기를 반전시켜야 하는데, 자칫 맹탕에 그칠 수 있다는 것이다.
3년 뒤 대선에서 정권을 재창출하려면 당 대표 홀로 주목받는 단일체제보다는 대권 잠룡들이 지도부에 두루 포진하는 집단체제가 "인큐베이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있다.
당 관계자는 2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집단체제의 전당대회 흥행 효과는 덤이고, 차기 주자 육성을 위한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집단체제로 전환할 경우 부작용이 더 클 수 있다는 우려도 만만치 않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4년 전당대회로 구성된 김무성·서청원·김태호·이인제 등의 집단체제다.
다른 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지도부 회의만 열면 최고위원들이 사사건건 부딪쳤던 "봉숭아학당 시즌2"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집단체제로 전환하자는 주장의 이면에 "한동훈 견제론"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도 일각에서 제기된다.
국민의힘은 지도체제 전환 여부를 놓고 분출하는 당내 여론을 수렴해 전당대회 룰을 확정하기 위한 당헌당규개정특위를 이번주 중 꾸릴 예정이다.
특위에선 현재의 "당원 투표 100%" 선출 방식도 논의될 예정이다. 일반국민 여론조사 비율을 20∼30% 정도 반영하는 쪽으로 바꿀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황우여 비대위원장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단일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집단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모두 경청하고 있다"며 "밀도 있는 논의를 위해 당헌당규개정특위를 꾸리기로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당내 의견대로 7월 중하순 전대를 치르려면 시간이 많지 않다. 앞으로 2주 내 당헌당규 개정 등 준비를 완료해야 한다"며 이번주 초에 특위 인선을 마치겠다고 밝혔다.
발언하는 황우여 비대위원장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달 2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5.27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