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2060년 청소년 인구 '반토막' 난다…다문화 학생은 '증가일로'(종합) > 멤버뉴스

본문 바로가기

멤버뉴스

[사회] 2060년 청소년 인구…


1


2


3


4


5

여가부 청소년 통계…초등학생 20% "수업외 하루 4시간 이상 공부"

고교 졸업생 73%는 대학 진학…직업계 고교 취업률 56%

73.6% "등굣길 즐거워"…94% "학교 친구들이 존중하고 배려해줘"

10대 40%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속해…중·고생 26% "우울감 경험"




고등학교 졸업식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이상서 기자 = 인구 감소 현상과 맞물려 전체 청소년 인구가 꾸준히 감소하면서 2060년에는 지금의 "반토막" 수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러한 흐름과는 반대로 다문화 학생은 꾸준히 증가해 최근 10년 새 3배 넘게 불어났다.


지난해 초·중·고등학생의 약 40%는 정규 수업을 제외하고도 하루 3시간 이상 공부한다고 밝혔다. 특히 초등학생의 20%가량이 하루 4시간 이상 공부해 초등학교 시절부터 공부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여성가족부는 교육부와 통계청 등의 각종 청소년 관련 조사 결과를 인용한 "2024 청소년 통계"에서 이같이 밝혔다.




무등산 습지 찾은 어린이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 청소년 인구, 2024년 782만명→2060년 411만명 "반토막"


저출산·고령화와 인구감소 현상에 맞물려 대한민국 청소년은 꾸준히 줄고 있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올해 청소년 인구(9∼24세)는 782만4천명으로, 전체 인구의 15.1%를 차지했다.


성별로는 남자가 51.8%, 여자가 48.2%로 남자가 3.6%포인트 더 많았다.


1984년 전체 인구의 34.9%(1천410만8천명)였던 청소년 인구는 2010년 20.9%(1천37만명), 2020년 16.7%(863만8천명)로 꾸준히 줄었다.


이러한 추세를 감안하면 2060년에는 현재의 절반 수준인 9.7%(411만8천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봤다.


청소년 인구는 2040년에 이미 총인구의 9.1%로, 총인구의 10%에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줄어든다.


6세에서 21세에 해당하는 학령인구도 줄고 있다.


올해 학령인구는 총인구의 13.8%에 해당하는 714만7천명으로, 전년(730만2천명)보다 소폭 감소했다.


학령인구 비중은 1984년 1천384만7천명(총인구의 34.3%)에서 꾸준히 줄어 2060년에는 377만명(총인구의 8.9%)까지 쪼그라들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청소년은 줄고 있는 흐름과는 달리, 다문화 학생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다문화 학생은 18만1천178명으로, 전체 학생(521만8천명)의 3.5% 수준이다.


다문화 학생은 2013년 5만5천780명에서 10년 만에 3배 넘게 늘었다.


지난해 기준 다문화 학생의 63.8%는 초등학생이고, 중학생은 24.1%, 고등학생은 11.7%였다.





[여성가족부 제공]

청소년 스스로 "신체적으로 건강하다"고 생각한 비율은 97.6%로, 2020년보다 0.2%포인트 높아졌다.


스스로 "정신적으로 건강하다"고 인식한 비율은 96.8%로, 2020년보다 0.7%포인트 낮아졌다.


청소년의 평균 수면시간은 주중 8시간 12분, 주말 9시간 11분으로, 모두 2020년보다 소폭 줄었다.


연령별로는 9∼12세 청소년이 9시간 7분, 19∼24세 7시간 55분, 13∼18세 7시간 54분의 순이었다.


"지난 일주일 동안 운동이나 야외 신체활동을 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53.8%로, 2020년보다 14.7%포인트 높아졌다.


지난해 10대의 40.1%는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에 속했다.


학급별로는 중학생(42.1%)이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에 가장 취약했고, 고등학생 36.0%, 초등학생 35.2%의 순이었다.


또한 중·고등학생의 26.0%는 최근 1년 내 우울감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의 스트레스 인지율은 37.3%로, 전년 대비 4.0%포인트 감소했다.




신나는 등굣길
[연합뉴스 자료사진]

◇ 청소년 사교육…예체능·취미 분야 늘고, 일반 교과 분야 줄고


통계청과 교육부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초·중·고교생의 사교육 참여율은 평균 78.5%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올랐다.


학교급별 사교육 참여율은 초등학생 86.0%, 중학생 75.4%, 고등학생 66.4% 순이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은 각각 0.8%포인트, 0.4%포인트 높아졌으나, 중학생은 0.8%포인트 낮아졌다.


주당 평균 사교육 시간은 7.3시간으로, 전년 대비 0.1시간 늘었다.


과목별 사교육 참여율은 일반교과 62.9%, 예체능·취미·교양 46.4%였다. 전년 대비 일반교과는 0.3%포인트 줄었고, 예체능·취미·교양은 1.1%포인트 늘었다.


지난해 초등학교 4∼6학년생과 중·고등학생의 40.2%는 평일 정규 수업시간을 제외하고 "하루 3시간 이상 공부한다"고 답했다.


이어 "2∼3시간" 22.7%, "1∼2시간" 21.0%, "3∼4시간" 18.5%, "1시간 미만" 16.1%, "5시간 이상" 10.2%의 순이었다.


공부에 내몰리기는 초등학생들도 마찬가지였다.


초등학생의 하루 평균 학습시간은 "1∼2시간" 24.8%, "2∼3시간" 23.9%, "3∼4시간" 16.9%, "1시간 미만" 14.8%, "4∼5시간" 10.1%, "5∼6시간" 5.8%, "6시간 이상" 3.7%였다.


초등학생의 20%가량이 정규수업 외 하루 4시간 이상 공부를 한다는 얘기다.


지난해 고등학교 졸업생 가운데 대학교 등 국내외 상급학교에 진학한 비율은 72.8%로, 전년보다 0.5%포인트 낮아졌다.


2022년 대학교 졸업 후 취업률은 69.6%로, 전년 대비 1.9%포인트 높아졌다. 전문대학(72.9%)이 일반대학(66.3%)보다 더 높았다.


지난해 고등학교 졸업 후 취업률은 직업계 고교가 55.7%, 비직업계 고교가 6.6%였다.


초등학교 4∼6학년생과 중·고등학생의 73.6%가 "학교에 가는 것이 즐겁다"고 답했다. 이는 전년 대비 0.2%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94.0%는 "학교 친구들이 나를 존중하고 배려해 준다"고 생각했고, 94.9%는 "선생님이 학생들을 존중한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2022년 기준 초·중·고등학생의 학업 중단율은 1.0%로, 전년보다 0.2%포인트 높아졌다.






[email protected]


추천97 비추천 31
관련글
  • 소녀시대 태연 덕분에 리모델링 했다는 청소년 쉼터
  • 소아청소년 정신과 권위자도 힘들었던 중학생 수업.jpg
  • 청소년 방역패스 2월 시행
  • 가출 청소년들을 자기 자식처럼 키운 남자 (스압)
  • 가출 청소년들의 현실
  • 생각보다 심각한 요즘 청소년 문해력 수준
  • 생각보다 진짜 심각한 것 같은 청소년 담배 대리구매
  • 청소년 쉼터
  • 박진영, 취약계층 소아청소년 위해 10억 쾌척...3년 연속
  • 인스타그램 10대 청소년 계정 비공개 전환.. 한국 내년 적용 전망
  • 실시간 핫 잇슈
  • 오늘의 RAW 애프터 매니아
  • KBO리그 현재 순위 (4월 6일 경기종료 기준)
  • <플로우> - 선의와 경이. (노스포)
  • 탄핵 이후 주목해볼 상황들 짧게 예상
  • 우리나라는 서비스를 수출하는 나라가 될 수 있을까
  • 국민 여러분 안심하십시오. 계엄은 성공하였습니다.
  • 김용현 검찰로 보내서 꼬리자르기 하려던 게 맞았나 보네요
  • 트럼프 "미국이 가자지구 점령해 소유할 것"
  • 상법개정안과 재벌해체
  • 오피셜) 검찰: 윤석열 계엄 당일 발포 명령, 연속 계엄 시행 지시
  • 회사소개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www.webstoryboard.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