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세라핌 일본 방송 카메라 워크
이미지가 없습니다.
(혹시 영상이 안나오면 링크를 통해 보시기 바랍니다. 물론 영상은 언제 삭제될지 모릅니다)
* 기본 고정 카메라 외에, 스태디캠,지미집으로 앵글을 구성
*적당한 간격으로 숏을 커트, 스태디캠으로 동선을 살려 안무와 표정을 담아냄
* 안무와 노래의 포인트를 이해하고 동선과 안무 특징, 멤버 표정까지 잘 분배
ㅡㅡㅡㅡ
* 기본적으로 케이팝 무대 카메라 구성의 핵심은 a.동선 b.노래와 안무의 메인 파트와 메인 포인트 c.멤버들 표정,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 가능한 살리는게 핵심. 이게 생각보다 쉽지 않은 난이도. 그래서 카메라 워크에 따라 천차만별의 카메라 퀄리티가 존재.
*한국 음악방송 카메라 워크는 사실 세계적 수준. 매우 다양한 포맷의 카메라 워크가 동원되고 수많은 형식으로 구분하여 따로 업로드 서비스까지 해주는 등.. 케이팝의 나라답게 이 분야에선 개척자에 가까움
다만, 메인 무대 영상의 경우 몇가지 특징이 있는데,
1. 기본적으로 숏이 너무 많다 대략 3초를 넘기려려 하지 않는다.
2. 패닝(좌우) 틸팅(위 아래) 줌인 줌 아웃이 굉장히 많다.
3. 그러니까 수많은 커트샷과 수많은 패닝 틸팅 줌인 줌아웃이 한국 음악방송의 특징. 아마도 최대한 역동적이고 지루하지 않게 하려는 의도로 보임
4. 다만 이게 너무 심하거나, 음악 스타일에 맞지 않거나, 안무 구성에도 어긋나면 그냥 계속 숏이 바뀌며 정신없는 카메라 워크가 됨
ㅡㅡㅡㅡ
* 결론
일본 음악 방송 스타일이 무조건 좋다거나, 한국 음악 방송 스타일이 무조건 별로라는게 아니라 음악/안무 스타일에 따라 더 어울리는 카메라 워크가 있는 느낌. 개인적으로 뮤직뱅크, 인기가요, 엠카에서 각잡고 찍는 카메라 워크는 정말 훌륭하다고 생각.
▶[열람중]르세라핌 일본 방송 카메라 워크 실시간 핫 잇슈
(혹시 영상이 안나오면 링크를 통해 보시기 바랍니다. 물론 영상은 언제 삭제될지 모릅니다)
* 기본 고정 카메라 외에, 스태디캠,지미집으로 앵글을 구성
*적당한 간격으로 숏을 커트, 스태디캠으로 동선을 살려 안무와 표정을 담아냄
* 안무와 노래의 포인트를 이해하고 동선과 안무 특징, 멤버 표정까지 잘 분배
ㅡㅡㅡㅡ
* 기본적으로 케이팝 무대 카메라 구성의 핵심은 a.동선 b.노래와 안무의 메인 파트와 메인 포인트 c.멤버들 표정,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 가능한 살리는게 핵심. 이게 생각보다 쉽지 않은 난이도. 그래서 카메라 워크에 따라 천차만별의 카메라 퀄리티가 존재.
*한국 음악방송 카메라 워크는 사실 세계적 수준. 매우 다양한 포맷의 카메라 워크가 동원되고 수많은 형식으로 구분하여 따로 업로드 서비스까지 해주는 등.. 케이팝의 나라답게 이 분야에선 개척자에 가까움
다만, 메인 무대 영상의 경우 몇가지 특징이 있는데,
1. 기본적으로 숏이 너무 많다 대략 3초를 넘기려려 하지 않는다.
2. 패닝(좌우) 틸팅(위 아래) 줌인 줌 아웃이 굉장히 많다.
3. 그러니까 수많은 커트샷과 수많은 패닝 틸팅 줌인 줌아웃이 한국 음악방송의 특징. 아마도 최대한 역동적이고 지루하지 않게 하려는 의도로 보임
4. 다만 이게 너무 심하거나, 음악 스타일에 맞지 않거나, 안무 구성에도 어긋나면 그냥 계속 숏이 바뀌며 정신없는 카메라 워크가 됨
ㅡㅡㅡㅡ
* 결론
일본 음악 방송 스타일이 무조건 좋다거나, 한국 음악 방송 스타일이 무조건 별로라는게 아니라 음악/안무 스타일에 따라 더 어울리는 카메라 워크가 있는 느낌. 개인적으로 뮤직뱅크, 인기가요, 엠카에서 각잡고 찍는 카메라 워크는 정말 훌륭하다고 생각.
추천51 비추천 64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