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웰 고메즈의 『길다 이야기』 한국어판 출간
1

★1992년 람다문학상 2개 부문 수상작(픽션/SF 판타지)★예일대, 뉴욕대, 워싱턴대 등 미국 유수 대학의 커리큘럼 및 추천도서★옥타비아 버틀러와 더불어 아프로퓨처리즘을 연 작가, 주웰 고메즈시대를 관통하여 우리에게 도착한 LGBTQ 사변소설의 걸작 뱀파이어 이야기로 다시 쓰인 저항의 연대기 『길다 이야기』는 1991년 미국에서 출간된 주웰 고메즈의 장편소설로 퀴어, 페미니즘, 아프로퓨처리즘, 여성 SF에서 문학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작품이다. 특히 소수자성을 중심에 놓고 사변적 상상력을 전개한 대표적인 작품으로 출간 30년이 훌쩍 지난 오늘날까지 LGBTQ 사변소설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출간 직후부터 미국 내 퀴어 문학과 흑인 페미니즘 문학에서 강한 반향을 일으킨 『길다 이야기』는 1992년 람다문학상에서 2개 부문을 수상하며 LGBTQ 문학 내의 위상을 공고히 했으며 2016년 시티 라이트 북스에서 25주년 기념판으로 출간되어 젊은 세대에게 컬트 클래식으로 재발견되었다. 또한 미국 유수의 대학들과 비평가들은 지속적으로 『길다 이야기』를 재조명하며 젠더 연구 및 퀴어 공동체를 다루는 텍스트로 활용하였다.1850년대 루이지애나의 여성 노예 길다는 미지의 두 여자에 의해 “피를 나누는” 영원한 삶에 입문한 후 2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뱀파이어로 살아온다. 여성, 흑인, 퀴어라는 소수자로서 차별과 억압을 받아가며 200년간 삶과 죽음, 자유와 억압, 개인과 가족, 사랑과 증오에 대해 철학적인 성찰을 거듭하는 길다. 흡혈이라는 장르적 장치를 통해 성적, 인종적 정체성을 스스로 깨달아 가면서 궁극적인 아웃사이더이자 사랑과 책임, 기억과 공동체를 잊지 않는 존재로 거듭나는 길다의 진일보한 변화는 국내 독자들에게도 큰 파란을 일으킬 만하다.옥타비아 버틀러가 흑인 여성 SF의 기념비적 작가라면, 주웰 고메즈는 그 흐름 속에서 공동체 윤리를 구현해 낸 작가로서 독자적인 위치를 구축했다. 고메즈는 기억과 사랑, 지속가능한 삶, 환경 문제와 대안 가족이라는 소재까지 작품 속에 담음으로써 연대의 의미를 강화한 작가이기도 하다. 미국의 사상가이자 작가인 알렉시스 폴린 검스는 출간 25주년 기념판 리뷰에서 “나는 이 책을 특별한 종류의 자기계발서로 생각한다. 어떻게 잊을 수 없는 캐릭터를 창조하는지, 장르와 문학의 전통을 융합시키는지, 그리고 여성과 흑인을 죄책감 없이 사랑하는 길다가 어떻게 인류와 지구와의 대화를 시작하는지 우리에게 가르치는 책”이라 평했다.
(5월 19일까지 알라딘에서 펀딩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