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에대한용어사전_47
이미지가 없습니다.///
전립선이란?
~~~~~~~~~~~
전립선(샘)이란 남성정액의 액체성분 가운데 약 1/3 가량을 만들어내는 성
부속기관이다.
전립선은 발생학적으로 요도 양측의 측엽(側葉), 요도 뒤쪽의 후엽, 요도 앞쪽의 전엽
그리고 중엽을 합쳐 모두 5개 구역으로 구성되며 근자에는 형태, 기능 및 병리학적
기준에 의해 이행대, 중심대, 말초대, 전부섬유근실질, 전립선 괄약근의 5개 지역으로
나누고 있다.
전립선은 샘물을 만들어내는 샘조직과 섬유근 조직으로 조성되어 있고 30∼50개의
소엽(小葉)으로 구성된 수 많은 샘(선;腺)에서 특징적인 유백색의 액체를 분비,
사정할 때 여러개의 전립선관을 통해 요도로 분출시킨다. 포도 송이와 비유하면 수
많은 포도알이 샘물을 만들어내는 선방(腺房)과 같고 포도가지가 전립선관인 셈이다.
전립선액은 고환에서 만들어진 정자에게 영양을 공급하여 정자의 운동성을
높여줌으로써 정자의 수태능력을 도와주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정액의 주요성분이기
때문에 남자의 생식능력과 밀접 한 관련이 있다.
무게 15∼20mg 정도 되는 샘조직으로 그 모양이 사과와 유사하며 방광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전립선의 앞쪽은 치골이며 뒤쪽에는 직장이 있어 항문을
통해 전립선을 만져볼 수 있다. 또한 전립선 내부로 사정관이 관통하고 있어 사정할
때 정액을 요도로 사출시킨다.
전립선의 염증과 이상성장은 남성을 괴롭히는 대표적 질환이다.
전립선 조직이 커지는 전립선비대증은 중년 남성 이후의 남성에게 여러 가지
비뇨기과적 문제를 일으켜 노년의 삶에 영향을 끼친다. 또 전립선암은 서양남자에게
가장 흔한 질병이며 두 번째로 높은 사망률을 기록할 만큼 흔한 질병이다. 이와같은
전립선의 이상 성장은 동물세계에서 사람과 개만의 질병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이유는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
전립선의 비뇨기과적 의의는 요도의 일부, 약 2.5cm 정도가 전립선을 관통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속이 빈 빨대(요도)가 사과(전립선)의 한복판을 꿰뚫고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어 사과에 문제가 생기면 그 속을 관통하고 있는 빨대에 염증이
파급되거나 눌리게 되어 여러 가지 비뇨기 과적 증상을 초래하는 것이다.
전립선질환에는 전립선염과 전립선비대증 그리고 전립선암이 가장 흔한 질병이다. 그
외에도 낭종성 질환이나 전립선 결석 등이 있다.
내일부터는 전립선 질환의 종류와 그 내용을 알아보기로 하자.
--------------------------------------------------------------------------------
위 내용은 준남성크리닉에서 발간한 "남자의 성"에서 발췌한 내용임니다.
추천75 비추천 16
첨부파일
- 성에대한용어사전_47.txt (2.3K) 4회 다운로드 | DATE : 2023-11-17 19:3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