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에대한용어사전_27
이미지가 없습니다.///
임질이란?
~~~~~~~~~
임질은 임균 감염에 의한 성인성질환이다. 임균은 원두커피 모
양의 구균(球菌)으로 항상 쌍(雙)를 이루어 다니기 때문에 쌍
구균이라고 부른다.
임질은 남성에게 임균성 요도염, 여성에게는 임균성 자궁경부
염의 형태로 시작된다.
임균은 건조한 상태, 저농도의 살균액, 비눗물에서 짧은 시간내
에 사멸하며 온도변화에 민감하다.
환자의 분비물내에 존재하는 임균은 습한 실내온도에서 약 24
시간, 젖은 수건에서 10∼20시간을 생존하며 40∼41℃에서 15
시간까지 약 10% 정도 살아남지만 42℃에서는 5∼15시간내에
모두 사멸될 만큼 약한 세균이다.
분 류 : 임질의 유형별 분류는 다음과 같다.
(1)남성성기임질 : 남성의 성기에 임균이 감염됨으로써 나타나
증상들
(2)여성성기임질 : 여성의 성기에 임균이 감염됨으로써 나타나
증상들
(3)직장임질(直腸淋疾) : 여성 임질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며 남
성 동성연애자 중, 여성 역활을 하는 사람들이 임균에
감염되어 항문이나 직장에 염증을 일으킨다.
(4)신생아임질 : 분만 당시 산모가 임질환자일 경우에는 신생
아가 산도를 통해 나오는 도중 신생아의 눈에 임균이 감염되
어 신생아 농루안을 야기하며 심할 경우 맹인을 만들기도
한다.
(5)무증상임질(無症狀淋疾) : 남성 임질환자의 10%, 여성 임질
환자의 60∼90%는 아무런 증상이 없다. 즉, 임균에 감염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아무런 자각증상 이나 객관적인
증후가 없어 자신이 임질 환자임을 인식하지 못한다. 이런
무증상 임질의 가장 큰 문제점은 보균자 본인이 임질환자임
을 모른체 활동적인 성생활을 지속하여 임질 퇴치의 장애요
인이 되고 있다.
(6)구강인두임질 : 임균은 비단 성기뿐만 아니라 키스나 오럴
섹스에 의해 구강인두염을 일으킬 수도있다. 미국의 통계에
의하면 임질환자중 남성은 3∼7%, 여성은10∼20% 정도가
구강인두임질을 갖고 있으며 이들 가운데 5%는 성기 대신
오직 구강에서만 임균이 검출되었다. 구강임질은 90% 이상
이 무증상이며 12주내에 자연 소멸된다.
따라서 이 기간내의 구강임질환자 는 직접적인 성기 결합이
없이 키스나 오럴섹스만으로도 임균을 전파시킬 수 있다.
(7)욕실변기임질(浴室便器淋疾) : 이론적으로는 임질균이 젖은
타올등에서10∼20시간 생존할 수 있기 때문에 변기씨트나
타올을 통해서 임균에 감염될 수도 있겠지만 실제로는
섹스 이외의 수단으로 임질에 감염된 경우는 거의
없다. 다만 질의 자정작용(自淨作用) 능력이 형성되지
않은 여아(女兒)의 경우에는 욕실변기임질에 걸릴 수도
있다. 따라서사춘기 이전의 여아 (女兒)를 둔 부모가 임균에
이환되었을 경우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8)불운임질(不運淋疾) : 임질환자와 성행위를 했을때 임균에
감염될 가능성은남자가 20%인 반면 여자는 90%로 여자가
남자에 비해 월등히 높다. 특히임산부의 감염율은
100% 이다.
따라서 동일한 상대와 복수로 성관계를 했을 경우, 사람에
따라서 임균에 이환될 수도 있고 아무일 없이 지나 갈 수도
있다. 그러므로 어찌 생각해보면 감염율 20%의 범위에 포
함된 남성임질환자는 억세게도 운이 없는 불운한
경우일지도 모른다.
추천44 비추천 73
첨부파일
- 성에대한용어사전_27.txt (3.2K) 3회 다운로드 | DATE : 2023-11-17 19:3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