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에대한용어사전_24 > 웹소설-내가 만드는 이야기

본문 바로가기

Hambora Site

성에대한용어사전_24

이미지가 없습니다.///
칼 없는 수술, 무도정관수술 ~~~~~~~~~~~~~~~~~~~~~~~~~~ 무도(無刀)수술이란 칼을 대지 않고 하는 수술을 말한다. 사람들은 자신에게 배풀어지는 의료 서비스가 가급적 아프지 않고 편안한 방법으로 행해지기를 희망한다. 갈수록 의료기술은 환자가 원하는 쪽으로 가고 있다. 내시경을 이용하거나 체외에서 충격파를 발사하여 될 수 있으면 환자의 몸에 칼을 대지 않고 질병을 제거하는 추세이며 또 그런 종류의 해결방법이 환자에게 인기가 있다. 사실 정관수술은 칼을 대더라도 기껏해야 음낭의 정중선에 1cm 미만의 절개만으로 충분할 만큼 간단한 수술이다. 그러나 그것보다 더 간편하고 피시술자에게 주는 고통과 예상되는 합병증 또는 후유증을 극소화시킬 수 있는 기법이 있다면 이것이 바로 1차적 선택방법으로 채용할 수도 있다. 무도정관수술은 정관수술의 퍼스트 초이스(first choice)라고 할 만큼 여러 가지 이점을 갖는 수술 기법이다. 특별히 고안된 두 가지 수술기구, 정관을 음낭피부 밖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고정감자(fixation clamp)와 조직발기를 위해 고안된 끝이 뾰족하고 굽은 지혈감자(dissecting clamp)를 사용한다. 정관을 고정감자로 고정시킨 후 지혈감자를 이용하여 음낭에 2mm 정도의 작은 구멍을 뚫는다. 이 작은 구멍을 통해 정관을 꺼낸 후 시술하는 간단한 방법이다. 1976년 중국의 리(Li)가 개발한 방법이며 출혈이 거의 없고 수술창상을 꿰매지 않아 매우 간단하고 편리한 시술법으로 환자에게 대단한 인기가 있다. 남성의 영구적 피임방법 가운데 가장 안전하고 효율적인 수단이 정관수술이다. 하지만 남자들이 정관수술을 기피하는 이유는 수술할 때 수반되는 통증과 속발할 수도 있는 수술 후 합병증이다. 그리고 이 수술을 거세개념으로 혼동하거나 수술 후 혹시 남자의 성능력이 저하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 때문이다. 실제로 음낭절개에 의한 고전적 정관절제술은 간혹 세균감염이나 혈종 등의 합병증을 초래하기도 하여, 소수의 일부 환자가 고통을 받는 경우도 있다. 또 폐쇄시킨 정관단(端)에서 정자가 새어나와 정자육아종이란 일종의 혹이 만들어지거나 절단된 정관이 다시 달라붙어 재개통됨으로써 원하지 않는 임신 가능성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합병증을 극소화시키는 방법은 수술자의 세심한 주의와 수술 숙련도를 높이는 것이지만 정관을 폐쇄시키고 처리하는 수술기법의 선택도 하나의 인자일 수 있다. 현재 중국에서는 피부에 구멍마저 뚫지 않고 피부를 통해 양측 정관에 주사바늘을 삽입한 후 화학물질을 주입, 정관을 폐쇄시키는 화학적 정관수술(chemical vasectomy)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 수술에 사용되는 화학물질, 시안아크릴레이트와 페놀 혼합물에 대한 안정성이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또 일부에서는 정관에 레이저 빔의 조사(照射)를 시도하거나 정관에 호치키스의 클립을 찍어 정관을 틀어막는 방법도 연구하고 있다. 어쨌든 무도정관수술은 기존의 관습적 수술방법에 비해서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만은 확실하다. 우선 수술시간이 3분 이내로 매우 짧고, 칼을 대지 않기 때문에 출혈도 거의 없으며 세균감염 기회도 거의 없다. 창상을 봉합하지 않아 수술 후 자주 병원에 갈 필요도 없다. 정색블록 (spermatic cord block)은 정관수술의 국소몽혼 방법으로 매우 훌륭한 기법이다. 정색블록만으로 대부분의 환자가 수술중이나 수술후에 거의 통증을 느끼지 않는다. 정관수술 후에 폐쇄시켰던 정관의 통로가 다시 열려 예기치 않은 임신으로 당혹스러울 때가 있다. 소위 정관이 재개되는 것이다. 정관수술 후, 정관재개율은 정관을 폐쇄기키는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정관을 절제한 후, 단순히 정관단만을 묶을 때는 1∼5%의 높은 재개율을 나타내지만 절제된 양측 정관점막의 일정한 길이(보통 1cm)를 전기로 소작시켜 주거나 잘라내 정관의 길이를 길게 해주면 수술 후 재개율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그 대신 나중에 있을지도 모를 정관 복원수술의 성공률이 낮아 진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정관수술을 받으면 일종의 만성정관염의 형태로 정관결절(멍울)이 만져진다. 그러나 이것이 어떤 문제점을 유발하는 것은 아니다. 정관수술로 정관을 폐쇄시키면 고환 쪽 정로의 압력이 올라가 부고환이나 수출관의 미세관이 파열된다. 이 파열부위로 정자가 새어나가 정자육아종이 형성되어 또 다른 근위부 정로폐색을 만드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정관복원수술의 성공률이 떨어진다. 정관수 술을 받게되면 만 명에 한 명꼴로 만성적인 고환통증을 느끼는 일이 있다. 정관복원수술로 이 통증을 완화시켜주어야 할 경우도 있다. 정관수술과 동맥경화증, 자가면역질환, 고환암, 전립선암의 상관관계에 대해 언급한 사람도 있으나 의학적으론 확실한 극거나 없다.
추천72 비추천 51

첨부파일

Copyright © www.webstoryboard.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