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에대한용어사전_14 > 웹소설-내가 만드는 이야기

본문 바로가기

Hambora Site

성에대한용어사전_14

이미지가 없습니다.///
아빠 만들기의 첨단기술[3/3] ~~~~~~~~~~~~~~~~~~~~~~~~~~ 자궁내 인공수정 자궁의 출입문이 정자가 통과해야만 하는 1차 관문이다. 자궁문에는 끈끈한 점액이 묻어 있어 결손정자는 이 끈끈이를 통과하지 못한다. 비록 유능한 정상 정자일지라도 이 끈끈이의 접착력이 너무 강력한 경우에는 자력으로 이 진입문의 통과가 어려워 수정을 기대할 수 없다. 이때 사용하는 방법이 자궁내 인공수정(IUI)이다. 정자를 인위적으로 자궁 내부까지 데려다줌으로써 이 난관을 뚫어야 하는 정자의 부담을 없애주는 방법이다. 다만 이때 사용되는 정자는 모두 똘똘한 놈이어야 한다. 운동성이 활발한 정자만을 선택 분리하는 일이 체외수정이나 인공수정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가급적이면 똘똘한 정자만을 따로 모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된다. 1회 시술에 의한 임신율은 약 21% 정도이다. 정액은 국물인 정장액과 건더기인 정자 및 기타 부유물질의 혼합물이다. 기타 부유물질은 죽은 정자, 미성숙 정자, 백혈구, 세균, 깨진 세포의 찌꺼기와 같은 정상 정자 이외의 모든 물질을 말한다. 정액의 국물이랄 수 있는 정장액은 정자 운동성을 방해할뿐 아니라 수정 자체에도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인자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생식 보조기술에 사용되는 양질의 정자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액을 처리하여 똘똘한 정자만을 선택 분리해야만 한다. 되도록 정자의 운동성을 더욱 증가시켜 가급적 많은 운동성 정자를 회수할 수 있는 정액 처리방법을 활용해야 한다. 똘똘한 정자만을 다량 확보할 수 있는 정자 처리법 활동성이 뛰어난 양질의 정자를 많이 얻을 수 있는 정자 처리방법으로는 정액 희석법, swim-up 방법, 비중차(比重差)를 통해 운동성 정자를 회수할 수 있는 배지, 퍼콜(percoll)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고 또 정자의 운동성을 높일 수 있는 화학약제를 첨가하기도 한다. 정액희석법이라는 간단한 정액 처리방법은 정액을 세척하여 정장액과 분리시키는 것이다. 정액을 원심분리하여 국물에서 정자만 분리하여 건져 올리는 방법이다. 건져올린 정자 덩어리를 배지나 햄스 F-10 용액에 다시 부유시키면 움직임이 더욱 활발해진 정자를 많이 모을 수 있다. 체외수정법 원래 불임 원인을 여성측이 제공할 때나 불임원인을 알 수 없을 때 사용된 방법이었다. 현재엔 남성요인 불임에도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체외수정 방법으로 수정이 어려운 환자에게 미세조작기(micromanipulator)를 이용한 보조생식기술(ART)은 1980년대 IVF-ET program에 연구 시행되었다. 일반적으로 체외수정 방법으로 수정에 실패하는 원인은 정자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 남성요인과 난자상태의 이상 또는 면역학적 원인이 있는 비남성요인으로 구분된다. 남성요인은 희소정자증 (oligozoospermia), 무력정자증(asthenozoospermia), 기형정자증(teratozoospermaia) 등이다. 이런 요인들에 의해 체외수정에 실패하거나 수정률이 매우 낮은 경우에는 미세조작술을 이용한 미세수정(micro-insemination) 방법이 이용되었다. 미세수정 방법으로는 부분적 투명대절개술(partial zona dissection;기계적으로 투명대 일부를 절개), 정자를 란강(pervitelline space)에 주입하는 투명대하 정자주입술(subzonal insemination;SUZI), 하나의 정자를 난자의 세포질내에 주입 하는 세포질내 정자주입술(ICSI;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등이 있다. 최근에 활발하게 연구, 시행되고 있는 ICSI는 기존의 PZD나 SUZI에 비해 높은 수정률과 임신율을 얻고 있으며 수술로 교정이 불가능한 폐쇄성 무정자증, 선천성 정관형성 부전과 같은 환자에서 미세수술적 부고환 정자흡입술(MESA;microsurgical epididymal sperm aspiration)과 ICSI를 병행 하여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남성 요인이 비남성요인에 비해 높은 수정률과 임신율을 보인다. ICSI가 남성 요인의 불임환자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비남성 요인에는 난자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 환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수정률, 임신율에에 차이가난다. 난자의 질이 ICSI결과에 영향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ICSI가 전반적인 남성 불임환자의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폐쇄성 정로장애로 인한 무정자증은 남성불임의 주요 원인이며 그 빈도는 남성 불임환자의 6∼ 14%를 차지한다. 폐쇄성 무정자증의 원인은 선천성 정관형성 부전증, 염증성 부고환폐쇄, 염증성 정관폐쇄, 인위적인 정관절제 등이 있으며 치료방법으로는 정관고환 문합술, 인공정액류, 정관복원술, 미세수술적 부고환 정자흡입술 등이 있다.
추천71 비추천 61

첨부파일

Copyright © www.webstoryboard.com All rights reserved.